볼품없는 ‘공영’ 인기 주춤… 미분양 속출

''반값 아파트 원조'' 싱가포르 르포 [下]값이냐, 質이냐
소비자 입맛 맞춰 외관·품질 고급화 재정적자 눈덩이… 민영은 투기열풍
  • 등록 2006-12-20 오전 8:17:55

    수정 2006-12-20 오전 8:17:55

[조선일보 제공] 싱가포르 사람들은 1990년대 이전에 지어진 공영아파트를 ‘비둘기집’이라고 부른다. 직사각형 성냥갑 모양의 획일화된 외형을 빗댄 표현이다. 분양가를 낮추기 위해 HDB(주택관리청·한국의 주택공사에 해당)가 내부 마감재를 최소화하고, 판박이식으로 대량 찍어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젊은 세대 사이에서 볼품 는 ‘반값’ 공영아파트를 외면하고 값이 몇 배 비싼 민영아파트를 선호하는 추세가 강해지고 있다. 공영아파트의 미분양사태도 속출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맞춰 HDB도 아파트 품질과 외관에 신경쓰기 시작했다. 부동산중개업체 ERA의 아이빈 오 전무는 “HDB가 고객 입맛에 맞춘 고급형 공영아파트를 개발하고, 오래된 공영아파트 업그레이드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덕분에 공영아파트의 인기는 좋아졌지만 HDB의 적자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가격은 민영아파트의 ‘반값 이하’로 유지하면서 고급화하려니 비용이 커졌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HDB 관계자는 “국민들의 고급화 요구가 커지면서 HDB의 적자 규모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높아진 국민들 눈높이

싱가포르 시내에서 북쪽으로 자동차로 30분 정도 달리면 한국의 분당 같은 신도시에 해당하는 푼골과 센캉 지역이 눈에 들어온다. 19만 가구가 모여 있는 대규모 공영아파트 단지다. 그런데 아파트마다 특색 있게 외형이 설계되어 있어 언뜻 보기에 민영 고급 아파트와 구분이 잘 안 된다. 아파트 사이사이에 야자수 등 나무들이 심어졌고, 야외 주차장 옥상에는 바비큐시설 등이 갖춰져 있다.

메이뱅크의 보험설계사 에드먼드 찬 카이 렁(32)씨는 2004년 7월 푼골 단지의 33평형 공영아파트를 분양받아 신혼 살림을 차렸다. 분양가격은 1억3020만원. 평당 395만원이다.

렁씨 아파트의 거실은 통유리로 꾸며져 바깥 경치가 한눈에 들어온다. 거실 바닥과 부엌에도 고급 타일이 깔려 있다. 콘크리트로 마감한 옛날식 공영아파트와는 완연히 다른 모습이었다. 렁씨는 “그래도 모자라 1680만원을 들여 카페 분위기로 내부 인테리어를 완전히 뜯어 고쳤다”고 말했다.

싱가포르 시내 중심지에서 한 블록 떨어진 탄종 파가르 지역. 벌써 10층까지 골조가 올라와 있는 공영아파트(50층짜리 6개동)는 국내외 공모전을 통해 당선된 건축가가 디자인을 맡았다. 또 건물과 건물 사이에 고층 구름다리를 설치하는 등 도심지역의 스카이 라인과 어울리도록 설계되는 파격을 연출했다. 

▲ 싱가포르 신도시인 푼골 지역의 신형 공영아파트 단지. 옛날식 공영아파트와 달리 디자인에도 신경쓰고, 주차장 옥상에 놀이시설과 바비큐 파티 등을 열 수 있는 편의시설을 갖추었다.
◆공영 줄이고 민영 비중 늘린다

공영아파트에 거주하는 사람들 비중도 1990년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민영아파트로 옮겨가고 있다는 의미다. 익명을 요구한 HDB 관계자는 “싱가포르 정부는 장기적으로 공영아파트 비중을 현재 82%에서 70%까지 낮추면서 민영아파트 비중을 늘려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중산층의 고급 주택 수요 충족을 위해 이미 1995년부터 고급 공영아파트를 공급, 공영아파트에서 차지하는 고급형 비중도 8%에 달하고 있다. 민간 건설업체를 끌어들여 공영아파트를 민영아파트처럼 멋지게 건설하는 방법도 실험 중이다.

◆달아오르는 민영아파트시장

지난 15일 예정됐던 싱가포르 남쪽 해안 마리나만(灣)의 초호화 아파트 ‘마리나 베이 레지던스’의 일반인 분양 신청 계획이 돌연 취소됐다. 428가구(2009년 입주 예정)가 부동산 에이전트를 상대로 한 이틀간 예비 분양에서 모두 동이 났기 때문이다.

55층 꼭대기 층에 위치한 펜트하우스(Penthouse) 두 채는 싱가포르 사상 최고가인 평당 7300만원에 팔렸다. 종전 최고치는 평당 4300만원이었다. 모델하우스에서 만난 부동산중개업자인 질리아나씨는 “외국 고객에게 열 채를 부탁 받았는데 한 채도 못 샀다”면서 짜증을 냈다.

고급 민영아파트시장이 달아오르는 것은 주택의 질을 따지기 시작한 싱가포르 국민들이 공영아파트에서 이탈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서정호 쌍용건설 싱가포르 법인장은 “민영아파트 시장에 오일달러 등 외국 자금과 싱가포르의 젊은 부자들까지 가세하면서 투기 열기가 뜨겁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 상큼 플러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