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건은 버거킹이라는 매물 자체를 바라보는 시장 분위기다. 원하는 몸값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서로 사겠다는’ 다자구도가 필수적인데 매각 측이 이러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느냐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여타 업종과 달리 매물별 온도 차가 오락가락하는 식음료(F&B) 매물 특성상 매각 성패를 바라보는 전망도 엇갈리고 있다.
|
어피니티는 지난 2014년 조성한 4조8000억원 규모 아시아 4호 펀드를 통해 2016년 한국 버거킹 지분 100%를 2100억원에 인수했다. 이듬해에는 버거킹 글로벌 브랜드를 소유한 캐나다 레스토랑브랜즈인터내셔널(RBI)과 일본 내 버거킹의 매장 신설과 관리, 상품 개발 등 운영권을 총괄하는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했다.
버거킹은 어피니티 인수 이후 꾸준한 매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 버거킹은 지난해 매출 6800억원에 상각전영업이익(에비타·EBITDA) 800억원을 달성했다. 인수 첫 해였던 2016년 에비타(486억원)와 비교하면 5년 새 65% 증가한 수치다. 올해는 조정에비타가 1000억원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일본 버거킹도 지난해 매출 150억엔(1550억원)에 에비타 68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그도 그럴 것이 국내 버거킹 매장 수는 지난해 말 기준 440개로 글로벌 햄버거 브랜드인 맥도날드를 제쳤다. 매장의 95%가 흑자를 내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다. 일본 버거킹도 146개 매장으로 국내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적지만 추가 성장에 대한 잠재력을 어필하고 있다.
|
업계에서는 어피너티가 2014년 조성한 펀드 만기 시점이 다가온다는 점도 주목하고 있다. 펀드 클로징이 임박하다 보니 매각 의지가 여느때보다 높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원하는 매각 결과를 끌어내지 못할 경우 장기 보유 전략을 짤 수도 있지만 현재로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한 PEF 업계 관계자는 “재무적인 요소가 왜 중요하지 않겠냐만 실적과 별개로 각 원매자가 그리는 추가 성장 잠재력의 영역도 중요하다”며 “시장에서 바라보는 버거킹에 대한 평가가 분위기나 결국 흥행을 좌우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