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연은 부문별로 성장 회복세가 차별화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먼저 소비는 고물가·고금리 현상이 지속되고 실질 처분가능소득이 줄어 소비심리 회복이 지연되면서 경기 회복세를 제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투자도 녹록지 않다. 건설투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건설기업의 자금사정 악화, 건설비용 안정화 불확실성 등으로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건설 분야 자금실적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기준선인 100포인트를 크게 하회하고 있는 가운데, 건설기업의 부채비율도 확대되면서 기버의 재무건전성과 자금 사정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 우려됐다.
기업들의 수출 경기 개선도 지연될 것으로 판단됐다. 국내 수출은 작년 4분기부터 증가세로 전환됐지만, 선행지표인 수출경기확산지수는 작년 11월 기준인 50포인트, 체감지표인 수출전망BSI는 올해 2월 기준(100포인트)을 하회하는 등 뚜렷한 개선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본격적인 수출 경기 회복은 여전히 지연되고 있는 것이다.
현대연은 적극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외수 환경 개선과 함께 국내 경제주체들의 체감경기 회복을 통한 견실한 내수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현대연은 “국내 통화 및 재정 정책은 대내외 환경 변화에 맞춰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정책기조 변화에 대한 소통을 강화해 국내 경제주체와 시장의 긍정적인 기대를 형성하고 유지해 경기 전반에 걸쳐 회복 체감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소비 활력을 통해 내수 시장 전반의 활성화를 도모함으로써 경기 회복 체감도를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수출 경기 회복세를 유지하고 국내 파급효과를 확대해 외수발(發) 경기 회복 체감도를 높여야 한다”며 “고용 시장 모니터링 강화 등을 통해 일자리의 양과 질 측면에서 개선을 꾀할 필요가 있고, 저소득층 같은 취약계층이 경기 회복 과정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사회 안전망 개선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