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퍼플 합류한 룰라 이상민 "SM·YG·JYP와 어깨 나란히"

올 하반기 7인조 남성 그룹 선보일 예정
네오퍼플, 식음료 사업외 신성장동력 찾아
  • 등록 2012-04-17 오전 11:18:42

    수정 2012-04-17 오전 11:18:42

[이데일리 박형수 기자] "올 하반기 7인조 남성 그룹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지난 6년 동안 음반 제작일을 하진 않았지만 언제나 머릿속은 음악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기존 아이돌그룹과 다른 색깔의 남성 그룹이 탄생할 것을 자신합니다."

최근 음반제작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네오퍼플(028090)의 이상민 기획제작 이사(사진)의 말이다. 댄스 그룹 `룰라`의 구성원이었던 이 이사는 지난 1996년부터 음반 제작자로 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컨츄리꼬꼬, 디바, 샤크라, 샵 등 제작한 음반마다 대박을 냈다. 지난 1999년 한해 동안 8장의 음반을 제작해 180만장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지난 16일 저녁 서울 청담동에서 만난 이상민 이사는 당당하게 6년 만에 음반제작자로 다시 나서게 된 포부를 밝혔다.

그는 "1996년부터 2000년 사이에 낸 음반은 모두 성공했다"며 "2001년 홍대 근처에서 청담동으로 옮겨갈 때 30억원을 투자해 당시 최고의 제작 시스템을 갖출 정도로 여유가 있었다"고 말했다.

네오퍼플은 이 이사의 능력을 높이 샀고 음반 제작과 관련한 전권을 위임했다. 한국야쿠르트의 원재료 공급을 담당하는 네오퍼플은 식음료 사업이 안정적이기는 하지만 성장성은 부족하다고 판단, 신규 성장 동력을 찾고 있었다.

아는 지인의 소개로 이 이사를 만난 네오퍼플 경영진은 지난해부터 세계 각지에서 불고 있는 케이팝 열풍을 보며 음반 제작사업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한다.

이 이사는 "여러 가지 사업을 해보고 난 뒤, 음악이야말로 나의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다시 복귀하고 싶었지만 이미 시장이 변해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과거 1인 제작시스템으로는 성공할 수 없는 시장으로 성장했다"며 "자본과 제작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던 차에 네오퍼플이 지원을 약속했다"고 덧붙였다.

네오퍼플의 지원을 받은 이 이사는 압구정동에 녹음실과 음악작업실을 마련했다. 이전부터 눈여겨 봐뒀던 연습생 7명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앞으로 10여명을 추가로 더 선발할 예정이다. 과거 손발을 맞췄던 전문가들도 속속 합류하고 있다.

이 이사는 "최근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은 사운드 디렉터의 영입"이라며 "영국에서 몇몇 전문가를 영입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그가 사운드디렉터를 중용하려는 이유는 최근 음악을 듣는 수단이 스마트폰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최적화된 음원을 만들기 위한 세심한 배려가 돋보이는 대목이다.

이덕요 전 음원제작자협회 회장도 네오퍼플에 합류, 이 이사의 음반 제작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 이사는 최근 케이블 방송 엠넷(Mnet) 인터넷 포털 다음과 공동으로 공개 오디션을 진행하고 있다. 오디션 이후 트레이닝을 거쳐 가수로 거듭나는 과정은 엠넷 `음악의 신`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모두 공개한다.

제작된 음반의 판권은 네오퍼플이 갖기 때문에 네오퍼플 실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6년 만에 음반 제작자로 돌아온 이 이사는 "현재 음반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SM엔터테인먼트·YG엔터테인먼트·JYP엔터테인먼트와는 또 다른 색깔의 제작사로 거듭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아울러 "미국 시장도 반드시 다시 진출할 것"이라며 "이번에 전 주한 미상공회의소 회장이었던 제프리 존스를 상임고문으로 영입한 것도 미국 진출을 염두에 둔 포석"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
☞네오퍼플, 음반제작 사업 본격화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 상큼 플러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