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디자인재단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DDP 등 서울의 디자인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2008년 만든 출연기관이다.DDP는 오 전 서울시장이 재임시절 ‘세계 디자인 메카’로 추진하려던 곳이었으나 박원순 서울시장의 의중을 담아 DDP의 콘텐츠를 ‘디자인 중심 공간’에서 ‘시민커뮤니티 공간’으로 바꿨다.
일각에서는 박 시장이 DDP를 ‘시민커뮤니티 공간’으로 바꾼 것이 오 전 시장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서라는 시각도 있었다. 박 시장이 DDP를 오 전 시장의 대표적 전시행정의 사례라고 혹평했기 때문이다.
소통중심의 디자인은 시대적 흐름
그는 이런 지적에 대해 고개를 저었다. 백 대표는 “박 시장이 추구하는 시민과 소통 중심의 디자인은 시대적 흐름이다.오 전 시장이 지금도 시장이었다면 이런 흐름을 받아들여 DDP의 콘텐츠를 시민중심으로 바꿨을 것”이라고 장담했다.
|
디자인재단은 ‘함께 만들고 누리는 시민디자인의 장’을 모토로 DDP에 11개 특화 공간을 마련한다.
1층은 문화·패션·도시디자인 등의 정보를 공유하는 정보체험시설(정보의 숲)로 만들어 도서관과 시민·상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2층은 동대문 상인과 업계 종사자를 위한 곳이다. 동대문의 패션 소재와 기술을 보여주는 전시 공간으로 꾸민다.
지하에는 신진 디자이너 등단을 위한 팝업갤러리, 글로벌 기업과의 콜라보레이션(협업) 공간이 마련된다. DDP건물 주변에는 둘레길을 만들어 공원의 기능을 담았다.
그는 전임 대표 재임 시절 불거졌던 재단 내 비리가 재발하지 않도록 방지책도 마련했다. 조직을 개편하고 감사역 두 명을 뒀다.
서울시는 지난 3월 디자인재단 종합감사에서 무자격자 채용, 각종 수당 과다 지급, 예산 부당 집행 등의 사례를 적발해 22명을 문책하고 27건에 대해 시정 등을 요청했다. 서울시는 또 부당 집행 예산 1820만원을 환수했다.
그는 “알려진 만큼 사안자체가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비리행위 건수가 많아 방지책을 마련했다.감사역을 대표 직속으로 두고 직원 윤리강령도 강화해 다시는 이런 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것”고 말했다.
|
백종원 대표는 박원순 서울시장을 ‘디자인 시장’이라고 불렀다. 박 시장이 희망제작소 상임이사로 일하던 지난해 9월까지 명함에 ‘소셜디자인’이라는 문구를 새겨 스스로를 소개했던 모습을 본 적이 있기 때문이다.
박 시장이 추구하는 ‘소셜디자인’은 디자인 개념을 단순히 평면·공간적 개념을 뛰어넘어 사회·정치적의미로 확대한 것이다. 돈이 드는 디자인이 아니라 사회적 기업인 아름다운가게처럼 시민주도의 소셜디자인을 통해 일자리 창출 등 돈을 만드는 디자인을 하자는 것이 박 시장의 디자인 철학이다.
실제로 박 시장은 “서울의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사양산업을 그대로 두면 안 된다.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이 업그레이드될 수 있도록 디자인과 문화가 융합된 창조 경제·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성동구 성수동에 수제화 거리를 만들어 골목상권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했으며 여성들이 안심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를 도입했다.
CPTED는 주택가, 공원, 주차장, 학교 등 여성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공간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투시형 엘리베이터, 사각지대 안전거울 등을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서울시는 건축·디자인에 CPTED가 반영되도록 올해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활용할 계획이다.
그는 2년 넘게 남은 임기동안 시민들을 위해 일하고 싶다고 했다. 백 대표는 “시민을 위해 일하겠다. 더 나은 삶을 지향하는 디자인 실현을 위해 디자인재단이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백종원 서울디자인재단 대표
1957년 5월 전남 구례 출생. 계원디자인예술대학교 어린이디자인과 부교수로 재직중이던 지난 3월 5일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로 임명됐다. 서울대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하고 헬싱키경제경영대학원 디자인경영 석사(eMBA)를 취득했다. 이후 디자인 연구와 어린이 디자인을 개발하는 업체인 ‘네이트시스템’ 대표를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