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기의 미국in]美경제 바닥 쳤나…"나이키형 회복" Vs "L자형 침체"

'나이키형' 부각 속 '낙관적' 지적도…정부·연준 '돈 더 부어야'
향후 美 '재정 위기' 우려 키울 수도…'증세' 불가피론 가능성
  • 등록 2020-05-10 오후 8:21:41

    수정 2020-05-11 오전 10:48:02

사진=AFP
[뉴욕=이데일리 이준기 특파원] 코로나19 사태 이후 미국 경제의 궁극적인 반등이 얼마나 강력할지를 놓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설왕설래가 계속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 인사들이 주장하는 소위 ‘V’자 형태의 가파른 반등은 사실상 물 건너갔다는 분석이 지배적인 가운데, 최근 들어 ‘나이키형’ 반등이 기대할 수 있는 ‘최선’의 시나리오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곡선의 꼬리가 완만하게 상승하는 모양인 나이키형은 뚜렷하진 않아도 안정적·점진적인 반등이 이뤄질 것이라는 얘기다. 다만, 이마저도 추가적인 ‘부양’이 지속돼야만 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문제는 미국의 막대한 재정부채다. ‘증세 불가피론’이 고개를 드는 이유다.

나이키형도 ‘낙관적’

‘V’자 형이나 나이키 형 외에도 느리지만 뚜렷한 성장인 ‘U’자 형이나 장기침체를 뜻하는 ‘L’자 형, 경기가 잠시 살아났다가 다시 주저앉은 더블 딥(이중 침체)의 ‘W’자 형, 최악의 시나리오인 ‘I’자 형 등 전문가마다 코로나19 후 경기 반등을 예측하는 목소리를 각양각색이다. 이 가운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등장한 나이키형은 가장 현실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 코로나19발(發) 위기 회복도 금융위기 이후와 비슷한 모습을 그릴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CUNA 뮤추얼 그룹의 스티브 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에도 길고 꾸준한 회복, 즉 나이키 로고인 ‘스우시’(Swoosh) 모양이 될 공산이 크다”고 했다.

한편에선 3300만명에 달하는 실직 사태, 40%대의 역성장이 확실시되는 2분기 성장률 등을 고려했을 때 나이키형 반등 역시 지나친 ‘낙관적’ 시각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매튜 미스킨 존 핸콕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투자전략가 “소비자가 돌아오지 않는다면 경기 회복은 더욱 짓눌릴 것”이라며 “앞으로 몇 분기 동안 미 경제는 혼란스러울 것”이라고 했다. 핸콕 전략가는 반등의 최대 방해 요인으로 ‘코로나19의 2차 유행’ 가능성을 꼽았다.

이미 ‘역대급’ 부양에 나선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트럼프 행정부가 더 많은 ‘돈’을 쏟아부어야 최소한 나이키형 반등을 이끌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다국적 회계법인 RSM의 조지프 브루스엘라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나이키 스우시처럼 보이는 회복의 밑바탕에는 강력하고 지속적인 재정 및 통화정책이 깔려야 한다”고 했다.

사실 낙관론의 시발점은 ‘주식시장’이다. 실물경제의 파탄 속에서도 지난 4월 33년만의 ‘최고의 한 달’을 보낸 뉴욕증시는 5월 들어서도 순항을 거듭하고 있다. 찰스슈왑의 랜디 프레드릭 트레이딩 담당 부대표는 “시장은 6개월 이후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고 보고 있는데, 시장의 관측이 꼭 들어맞을 것이란 법은 없다”고 했다. 특히 어떤 형태를 띠든 경기 반등의 과정은 지난(至難)할 수밖에 없다. 레이몬드 제임스 앤 어소시어츠의 래리 애덤 최고투자책임자(CIO) CNN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반등 과정에서 생존하지 못하는 기업들은 많을 것”이라고 했다.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회복의 형태는 울퉁불퉁할 것”이라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사진=AFP
◇美 부채 괜찮을까


브루스엘라스 이코노미스트의 지적처럼 나이키형 회복이 이뤄지려면 강력한 재정 및 통화 정책은 더 뒤따라야 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지난달 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후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재정적자는 중대한 문제지만, (바이러스와의) 전쟁에서 이기는 데 방해가 돼선 안 된다”며 트럼프 행정부와 의회를 향해 ‘돈을 더 풀라’고 압박한 것도 향후 극적인 경기반등을 꾀하기 위해서로 봐야 한다. 파인브리지인베스트먼트의 스티븐 오 신용·채권 부문 글로벌 책임자는 “재정 부양은 제2의 불황을 피하기 위해 절대적 필요하다”고 했다.

문제는 이미 미국이 이미 엄청난 빚더미를 끌어안고 있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코로나19 전부터 ‘호황’을 이어가기 위해 막대한 감세 및 재정지출 등을 통해 빚을 불려 왔다. 코로나19 이후 4차례의 대규모 부양을 비롯해 락다운(봉쇄·lockdown)과 이로 인한 3350만명의 실직 사태 등으로 세수가 줄어든 점도 한몫했다. 미 의회예상정책처에 따르면 미국의 연방적자 규모는 2019년 1조달러에서 올해 3조70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향후 2조달러 규모의 5번째 부양책이 이뤄지면 적자규모는 천문학적으로 더 늘어난다.

무디스는 코로나19 사태 전 미국 국가부채가 2030년 국내총생산(GDP)의 100%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지금은 GDP의 128%에 이를 것으로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재정적자 감축을 지지하는 ‘책임 있는 연방예산위원회‘의 마야 맥귀니스 대표는 “미국 경제가 좋을 때마저 빚을 늘린 건 큰 실수였다”고 했다.

최대 관건은 제아무리 미국이 달러를 찍어내는 기축통화국이라고 해도, 이 정도 규모의 ‘빚’을 감당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미국 경제가 회복세에 들어서면 증세 필요성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니콜라스 블룸 미 스탠퍼드대 경제학 교수는 “증세는 향후 불가피해 보이지만, 서두를 경우 경기반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 상큼 플러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