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로 안 보이는 먼지까지 잡는다"…다이슨 새 청소기 출시(종합)

헤드 탑재 레이저로 안 보이던 미세먼지 확인
먼지 입자 크기·양 측정…LCD에 실시간 표시
머리카락 엉키지 않는 원뿔형 브러쉬바 개발
5단계 필터레이션으로 0.3마이크론 99.99% 포착
  • 등록 2021-05-25 오후 12:43:01

    수정 2021-05-26 오후 2:33:22

[이데일리 신중섭 기자] “청소기 헤드에서 나온 녹색 레이저가 특수제작 렌즈를 통해 퍼져 보이지 않는 미세먼지를 비춥니다. 액정표시장치(LCD)를 통해 흡입된 먼지 입자의 크기와 양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태형 기자] 25일 서울 성동구 에스팩토리에서 열린 다이슨 무선청소기 신제품 론칭 행사에서 모델들이 ‘다이슨 V15 디텍트™’와 ‘다이슨 V12 디텍트 슬림™’을 시연해 보고 있다.
◇레이저로 미세먼지 보고 먼지 크기·양도 실시간 확인


다이슨은 25일 서울 성동구 S팩토리에서 신제품 론칭 행사를 열고 새 무선 청소기 ‘다이슨 V15 디텍트’와 ‘다이슨 V15 디텍트 슬림’을 선보였다.

관계자가 시연을 위해 청소기를 작동시키니 신기술인 ‘레이저 디텍트 기술’이 적용된 헤드 우측에서 초록색 레이저가 뿜어져 나왔다. 레이저는 지면에서 7.3mm 떨어진 높이에서 아래로 1.5도 각도로 발사돼 특수 제작된 렌즈를 통해 부채 형태로 퍼졌다. 그러자 관계자들이 시연을 위해 행사장 바닥에 미리 뿌려놨던 설탕이나 미세먼지 등이 모습을 드러냈다. 레이저로 비추기 전까진 바닥에 뿌려진 사실조차 몰랐다.

다이슨 관계자는 “사람의 눈은 다른 색보다 녹색을 더 민감하게 인지한다”며 “녹색을 비췄을 때 더 밝게 느껴지고 대비도 높아져 숨어있던 먼지가 더 잘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레이저 렌즈의 설계를 500번 이상 반복했다”며 “0.11g밖에 되지 않는 부품에 많은 시간을 투자함으로써 레이저 렌즈는 다이슨이 그간 개발한 부품 중 재료 1g당 가장 비싼 부품 중 하나가 됐다”고 말했다.

단순히 먼지를 비춰 눈으로 보는 데 그치지 않았다. 빨아들인 먼지의 크기와 양이 청소기에 부착된 LCD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됐다. 10마이크로미터(μm·100만분의 1m)이상의 먼지나 이물질은 노란색으로, 60μm 이상은 주황색, 180μm 이상은 분홍색 500μm 이상은 보라색으로 표시한 막대 그래프가 흡입량에 따라 쉴 새 없이 움직였다.

이를 가능케 한 건 다이슨이 이번에 새롭게 개발한 ‘피조 센서 기술’이다. 다이슨 관계자는 “클리너 헤드에 부착된 탄소 섬유 필라멘트가 먼지를 잘 포착할 수 있도록 돕고, 흡입구를 통과한 먼지는 작은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피조 센서를 거친다”며 “피조 센서는 먼지 입자를 1초에 최대 1만5000번 측정하며 먼지 농도에 따라 자동으로 흡입력을 조절한다”고 설명했다.

원뿔형의 다이슨 헤어 스크류 툴(사진=다이슨)
◇‘원뿔형’ 브러쉬 바 등 ‘엉킴 방지’ 툴 선봬


기존에 없던 새로운 툴들도 선보였다. 특히 머리카락이나 털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가장 눈에 띈 건 ‘원뿔형’의 브러쉬 바였다. 여러 유형의 모발 테스트를 거치며 툴 브러쉬 모의 각도를 정교하게 조정해 탄생한 ‘헤어 스크류 툴’이다. 기존 헤드보다 작고 새로운 형태의 이 툴을 청소기 본체에 끼워 머리카락과 포장용 적끈 등을 빨아들이니 일체의 엉킴 없이 곧장 먼지통으로 향했다.

머리카락 엉킴을 방지하는 헤드인 ‘하이 토크 클리너 헤드’도 새로 장착됐다. 클리너 헤드 내부에 56 개의 폴리카보네이트 빗살이 부착돼 있으며, 이 빗살이 청소할 때 브러쉬 모 주변에 엉킴을 방지하고 브러쉬 바에서 머리카락을 자동으로 제거해준다.

다만 하이 토크 클리너 헤드는 다이슨 V15 디텍트에만 제공된다. V12 디텍트 슬림에 호환은 불가하다. 레이저가 장착된 ‘슬림 플러피™ 클리너 헤드’와 헤어 스크류 툴은 다이슨 V15 디텍트와 V12 디텍트 슬림 모두에 기본 제공된다.

아울러 다이슨 V15 디텍트·V12 디텍트 슬림에는 모두 다이슨의 5단계 고성능 필터레이션 기술이 적용되어 0.3 마이크론에 불과한 입자를 99.99 % 포착해 깨끗한 공기를 배출한다. 다이슨 싸이클론 기술은 바닥에서부터 먼지와 오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며, 다이슨의 완전 밀봉된 시스템으로 먼지를 가둬준다.

흡입력은 V15 디텍트가 240AW, V12 디텍트 슬림이 150AW다. 무게는 V15가 3kg, V12 디텍트 슬림이 2.2kg다. 작동 방법도 조금 다르다. V15는 트리거(방아쇠) 방식이지만, V12 디텍트 슬림은 모터의 버튼을 누르는 식이다.

다이슨 V15 디텍트와 V12 디텍트 슬림은 오는 25일 다이슨 공식 홈페이지 및 데모스토어, 일부 백화점 매장에서 구입 가능하며 이후 전국 다이슨 매장에서 구매가 가능하다. 다이슨 V15 디텍트의 권장 소비자가는129만원, V12 디텍트 슬림™의 권장 소비자가는 109만원이다.

다이슨의 설립자이자 수석 엔지니어인 제임스 다이슨은 “지난 1년 동안 사람들은 실내에서 훨씬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더 자주 청소하게 됐고 집이 진짜 깨끗한지 눈으로 확인하고 안심하고 싶어한다”며 “다이슨 V15 디텍트와 V12 디텍트 슬림은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이 더 건강하고 깨끗한 집에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과학적으로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다이슨코리아)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 상큼 플러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