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익환 SNE리서치 부사장은 12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NGBS(Next Generation Battery Seminar) 2023’에서 “2035년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규모(팩 기준)는 올해부터 연평균 15.5% 성장해 6160억달러(815조원)에 이를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
이에 따라 SNE리서치는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도 2023년 687기가와트시(GWh)에서 2025년 1207GWh→2030년 3074GWh→2035년 5256GWh로 늘어나리라고 예상했다. 이는 연평균 19.5%의 성장세다.
오는 2035년 글로벌 상위 6개 업체의 생산 능력은 약 5테라와트시(TWh)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 생산 능력 1TWh보다 5배 커진 규모다. 상위 6개 업체는 국내 배터리 3사인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과 중국 CATL·BYD, 일본 파나소닉을 말한다.
SNE리서치는 2035년 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수요가 7.3TWh에 달하는데, 공급은 5.9TWh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즉, 2030년대 안팎으로 전기차와 ESS용 배터리의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해지리란 얘기다.
오 부사장은 “유럽·북미 시장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 북미·유럽 신규 배터리 업체들이 계획에 맞춰 정상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며 “이에 따라 특히 북미 지역의 배터리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최근 광물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을 두고선 “당분간 메탈 가격 하락 모멘텀은 유지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3월 기준 리튬 가격은 1년 새 38.9% 하락했고, 같은 기간 니켈·코발트 가격은 36.4%, 59.5% 떨어졌다.
아울러 SNE리서치는 ‘꿈의 배터리’라고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양산 시점을 2027년이라고 내다봤다. 오 부사장은 “전고체 배터리 비중은 2035년 전체 배터리 시장의 10~13%를 차지할 것”이라며 “2030년 이후 황화물계 중심으로 전고체 배터리 시장이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SNE리서치는 이 밖에 차세대 배터리 기술로 △나트륨 전지 △코발트 프리 △리튬 에어 △열화 진단·예측 기술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꼽았다. 배터리 재활용 시장 규모 역시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라 2040년 1741억달러(230조원·광물별 금액 기준)에 이르리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