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에 따르면 당구장 사업자는 지난 2019년 2만2000명에 이르렀지만,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2021년 기준 1만7000명으로 줄었다. 협회 등은 “코로나19가 발생한 지 약 1년 만에 약 5000명의 사업자가 폐업했고, 20~30%의 업주들이 추가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이들 단체는 당구장은 오후 6시~12시 매출이 전체 매출의 80%에 달하는데, 정부가 코로나19 방역을 이유로 당구장에 대해 오후 10시까지만 영업할 수 있도록 제한하면서 평균 매출이 40~50% 감소한 게 줄 이은 폐업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업주들은 이어 손실 보상 없는 정부의 집합금지·영업제한으로 당구장 업주들이 임차료를 지급하지 못하는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고도 설명했다. 집합금지·영업제한 기간 발생한 손실에 대해 아무런 대책 없이 피해만 업주들이 고스란히 떠 안고 있다는 주장이다.
정인성 협회 전무이사는 “더는 집합금지·영업제한 업종과 계약을 하지 않겠다는 건물주들도 있을 정도”라며 “임차료를 내지 못하는 당구장 업주들은 권리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한 채 거리로 내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 단체는 이용객들이 마스크를 착용한 채 이용할 수 있고, 밀폐도·밀집도·밀접도와 거리가 있는 당구장 영업을 정부가 코로나19 방역이란 이유로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는 만큼 정부가 당구장에 대한 영업시간을 반드시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조사 결과 최소 자정까지 영업시간을 늘리면, 평균 매출의 80% 수준으로 매출이 유지될 것”이라며 “이 정도 조건만 갖춰지면 당구장 업주들은 직원을 고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당구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