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FP 제공 |
|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혁신이 국제적으로 확산할수록 우리나라 교역에 유리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또 우리나라가 산업용 로봇 분야에선 세계 최상위급이지만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 4차 산업혁명 핵심 부문에선 인도나 중국에도 뒤진다며 관련 연구개발(R&D)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도 뒤따랐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는 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디지털 혁신의 국제비교와 시나리오별 무역영향 분석’ 연구보고서(최낙균·이규엽·김혁황·장윤종)를 출간했다.
보고서는 미국특허 통계를 분석해 주요국 디지털 혁신 수준을 산출하고 이들 국가의 발전 속도별 시나리오를 총 9개로 나누어 본 결과 우리나라는 디지털 혁신이 전 세계에 확산할수록 교역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고 전했다.
이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디지털 혁신에 따른 교역증가 효과가 평균 1.39%로 미국(3.35%), 유럽(1.53%)에 이어 매우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중국(-0.36%)이나 브라질(0.28%), 인도(0.45%)는 이와 대조적으로 최근 빠른 디지털 혁신 속도에도 여전히 전체 수준이 낮아 그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분석됐다.
| 산업 수준의 디지털 혁신 시나리오 국가별 총 교역 변화. KIEP 제공 |
|
보고서는 “우리나라 디지털 혁신 실적이 이들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산업구조 특성상 디지털 혁신에 따른 중간재 수출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교역 상대국의 디지털 혁신이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만큼 국제 무역규범을 디지털 혁신에 걸맞도록 정비하고 인터넷 프로토콜, 무선 네트워크 등 인프래 개선을 위한 국제 논의에도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또 우리나라가 산업용 로봇 활용 면에선 우위에 있지만 전반적인 디지털 혁신 면에선 인도, 중국 등 신흥국에도 못 미친다며 관련 R&D를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우리나라의 산업용 로봇 활용도는 2016년 기준 근로자 1만명당 운용 로봇 631대로 싱가포르(488대), 독일(309대), 일본(303대)를 제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높다. 절대적인 수치 면에서도 로봇 설치 규모로는 세계 3위, 운용 규모론 4위를 차지한다. 그러나 2010~2015년 산업·기술별 디지털 혁신 수준을 보면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못 미치며 컴퓨터 프로그래밍 산업이나 IoT, 빅데이터 등은 중국, 인도보다도 낮은 수준이었다. 보고서는 관련 R&D 투자 확대와 함께 이를 뒷받침할 각종 규제의 철폐가 시급하다고 전했다.
| 2016년 기준 근로자 1만 명당 운용 로봇 수. KIEP 제공 |
|
4차 산업혁명은 현실의 모든 사물·현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분석해 로봇이나 3D 프린팅을 통해 다시 현실로 구현하는 과정이다. 한 공장이 단순히 생산성을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개개인을 위한 맞춤형 제품·서비스마저 양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OECD는 4차 산업혁명으로 개개인의 경제·정치·사회 참여도가 높아지고 정부 역할은 플랫폼 역할에 그치고 많은 부분을 AI가 대체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이 과정에서 분야별 산업 구조가 검색 시장의 구글이나 스마트폰에서의 삼성·애플·화웨이처럼 승자 독식 형태로 파괴적인 재편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구글이나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처럼 먼저 시장을 선점해 생태계를 구축한 ‘퍼스트 무버’가 클 수 있다고 전했다. 또 대량생산 체제가 무너지고 제품 다양성이 늘어나면서 제조업도 서비스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아직 4차 산업혁명을 구현할 3D 프린팅 기술 수준과 발전 속도가 느리지만 한순간에 무역 구조가 바뀔 수 있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4차 산업혁명은 세계 경제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우리도 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인 지원 체제와 디지털 혁신 뒷받침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 2010~2015년 디지털 혁신기술 분야별 등록건수의 주요국 비중. KIEP 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