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의 `뉴삼성`..113조원 현금이 향할 신사업은?

시스템반도체·전장 부품 등 4차 산업 혁명 기술
NXP 등 세계 1위 업체 M&A 가능성 꾸준히 거론
코로나19로 주가 저평가 기업 지분 투자도 가능
  • 등록 2020-05-07 오후 5:50:46

    수정 2020-05-07 오후 5:50:46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6일 오후 서울 서초동 삼성사옥에서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저는 지금 한차원 더 높게 비약하는 새로운 삼성을 꿈꾸고 있습니다. 끊임없는 혁신과 기술력으로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하면서도 신사업에 과감하게 도전하겠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부회장이 지난 6일 대국민 사과를 통해 ‘뉴(NEW)삼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면서, 향후 삼성이 추진할 신사업과 대규모 인수합병(M&A)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업계에선 이 부회장이 그동안 관심을 기울여온 4차 산업혁명 기술인 △시스템반도체 △인공지능(AI) △전장(전자 장비) 부품 △QD(퀀텀닷)디스플레이 △5세대 이동통신(5G) △바이오 등이 우선적인 투자 확대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펜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극심한 경기 침체에 빠지면서, 글로벌 M&A 시장에서 삼성이 100조원이 넘는 현금을 동원해 관련 유망 기업을 저가에 인수할 절호의 기회란 관측도 나온다.

113조원 현금…시스템반도체·전장 ‘M&A’ 실탄

7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회사의 올해 1분기 말 연결 기준 현금 보유액은 총 113조 1964억원으로 전년 동기(102조 352억원) 대비 10.9% 증가했다. 현금 보유액은 회사가 보유한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단기금융상품, 장기 정기예금 등을 모두 합친 개념이다.

업계에선 삼성전자가 보유한 113조원에 달하는 현금이 이 부회장이 언급한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 투자되고, 신사업 분야의 M&A 등에도 쓰일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이 부회장은 부친인 이건희 회장이 2014년 5월 심근경색으로 쓰러지며 총수 역할을 맡은 직후부터 2~3년 간 공격적인 M&A와 사업 재편에 나섰었다. 2015~2016년 인수했던 미국 모바일 결제 전문기업 ‘루프페이’, 럭셔리 가전업체 ‘데이코’, AI 플랫폼 스타트업 ‘비브랩스’, 전장 기업 ‘하만’ 등은 현재 삼성전자의 핵심 기술 및 제품과 결합해 시너지를 내고 있다.

삼성전자가 M&A에 나설 것으로 꾸준히 거론돼 온 분야는 핵심 신성장 동력인 시스템반도체와 전장 부품 등이다. 특히 차량용 반도체 1위 기업인 네덜란드 NXP반도체는 퀄컴의 인수 무산 이후 삼성전자와의 M&A 가능성이 계속 제기돼 왔다. 삼성전자는 NXP와 지난해 8월 자율주행에 적용될 무선통신기술 UWB(초광대역) 표준 제정을 위한 ‘FiRa 컨소시엄’을 함께 발족하는 등 협력 관계도 이어오고 있다. 그러나 2018년 퀄컴이 NXP 인수를 추진할 당시 제시했던 인수 가격이 삼성전자 보유 현금의 절반에 달하는 440억 달러(약 54조)에 이르는 점은 부담이다. 또 중국이 독과점 이슈와 관련해 퀄컴의 NXP 인수를 승인하지 않아 무산됐던 전례도 있어, M&A 추진이 쉽지 않다는 관측도 있다.

세계 3위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업체)인 글로벌파운드리도 M&A 대상으로 지속 거론돼 왔지만, 극자외선(EUV) 공정 기반의 7나노미터(nm·10억분 1m) 이하 제품 양산에 집중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사업 방향성과 맞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독과점 이슈 피할 주요 기업 ‘지분 투자’ 가능성도

미·중 무역 분쟁 격화로 심화되고 있는 보호 무역주의와 코로나19로 인한 국가 간 이동 제한 등으로 삼성의 투자 방식도 변화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독과점 이슈와 맞물려 리스크가 큰 M&A보다는 삼성의 핵심 사업과 연계한 주요 글로벌 기업의 지분 매입이 대안으로 거론된다.

이 부회장은 EUV와 스토리지, 전기차,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의 세계적 기업에 지분 투자해 성공을 거둔 경험을 갖고 있다. EUV 노광기(반도체 웨이퍼에 패턴을 그리는 장비)를 전 세계에 독점 공급하는 네덜란드 ASML도 삼성전자가 2012년 지분 3%(현재 1.5%)를 인수해 차세대 노광기 개발에 성공한 사례다. 또 ‘특허 괴물’이라 불렸던 미국 반도체 설계업체 램버스의 지분도 삼성전자가 2010년 9%(2016년 전량 매각)를 취득해 특허권 문제를 해소하기도 했다. 중국 1위 전기차 업체인 BYD도 이 부회장 주도로 삼성전자가 2016년 30억 위안(약 5166억원) 유상 증자에 참여해 투자한 기업이다. 업계에선 삼성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주가가 저평가 된 4차 산업 혁명 기술 보유 기업에 대한 지분 인수를 M&A에 대안으로 삼을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EUV나 QD 등 반도체·디스플레이 ‘초(超)격차’ 분야에선 관련 원천 기술을 보유한 유망 스타트업은 직접 M&A를 시도할 수 있다”면서도 “대규모 M&A보다는 협력 관계에 있는 유망 업체의 지분 매입을 통해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방향이 현실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자의 올 1분기와 전분기, 전년동기 현금 보유액 추이. (자료=삼성전자·단위=조원)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바이든, 아기를 '왕~'
  • 벤틀리의 귀환
  • 방부제 미모
  • '열애' 인정 후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