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크랙→먹튀 대명사’ 아자르, 결국 부활 못 이루고 은퇴... “난 운이 좋았다”

첼시서 7시즌 352경기 110골 92도움
벨기에 대표팀에선 126경기 33골
2019년 레알 마드리드 이적 후 급격한 내리막
부상 및 부진 속 4시즌간 76경기 7골 12도움에 그쳐
  • 등록 2023-10-11 오전 8:49:36

    수정 2023-10-11 오전 8:49:36

크랙의 대명사로 불렸던 아자르가 은퇴를 선언했다. 사진=AFPBB NEWS
[이데일리 스타in 허윤수 기자]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를 호령했던 에덴 아자르(32)가 결국 축구화를 벗었다.

아자르는 10일(한국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16년간 700경기를 넘게 뛰었다”라며 “이제 프로 선수로의 경력을 마치기로 했다”라고 은퇴 소식을 전했다. 이어 “적당한 때 그만둘 수 있게 내면의 소리를 잘 들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2008년 프랑스의 LOSC 릴에서 프로 데뷔한 아자르는 단단한 체구와 뛰어난 기술을 바탕으로 가치를 드러냈다. 2012년 첼시에 합류한 뒤에는 세계적인 수준으로 뛰어올랐다. 첼시에서 7시즌 동안 352경기에 나서 110골 92도움을 기록했다. 특히 2018~19시즌에는 리그에서만 16골 15도움으로 EPL 무대를 평정했다.

같은 기간 첼시는 아자르와 함께하며 리그 2회,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 2회, FA컵 1회, 리그컵 1회 우승을 차지했다.

벨기에 대표팀에서도 황금세대 주축으로 활약했다. A매치 126경기에서 33골을 기록했고 주장 완장을 달고 팀을 이끌기도 했다. 아자르와 함께한 벨기에는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 8강, 2018년 러시아 월드컵에서 3위를 차지했다. 아자르는 러시아 대회에서 최우수선수 2위에 해당하는 실버볼을 받기도 했다.

이후 아자르는 급격한 내리막길을 걸었다. 2019년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한 뒤 추락이 시작됐다. 당시 레알은 30대를 앞둔 아자르에게 이례적으로 1억 1500만 유로(약 1656억 원)라는 큰 이적료를 투자했다. 여기에 에이스의 상징인 7번을 부여하며 남다른 기대감을 드러냈다.

기대는 곧 실망으로 바뀌었다. 과체중 논란 속에 잦은 부상과 부진에 시달렸다. 아자르는 거칠다고 소문난 잉글랜드 무대에서 7년을 뛰며 겨우 10차례 다쳤다. 부상으로 인해 결장한 경기 수는 21경기에 불과했다.

반면 레알에선 입단 첫해부터 부상에 발목 잡혔다. 4시즌 동안 18번 쓰러졌다. 부상으로 빠진 경기 수는 무려 78경기. 레알도 점점 아자르 없는 상황에 익숙해졌고 그의 입지도 좁아졌다. 지난 시즌에는 리그 6경기 출전에 그쳤다.

레알에서 4년간의 기록은 76경기 7골 12도움. 첼시에서 가장 부진했던 걸로 평가되는 2015~16시즌의 43경기 6골 8도움과 크게 차이가 없다. 이땐 경기 출전도 꾸준했다.

결국 아자르는 지난 시즌을 끝으로 레알과 결별했다. 이후 벨기에 2부리그를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무대와도 연결됐으나 성사되진 않았다. 선수 경력이 길어졌다고 평가되는 현재 겨우 32세의 나이로 은퇴를 선언하게 됐다.

아자르는 “난 운이 좋았다. 훌륭한 지도자와 동료들을 만났다”며 “모두 감사드리고 항상 그리워할 것”이라고 작별 인사를 건넸다. 아울러 “릴, 첼시, 레알 그리고 벨기에 대표팀에 선발해 준 축구협회에도 감사한다”며 고마움을 전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꽃 같은 안무
  • 좀비라고?
  • 아이언맨 출동!
  • 아스팔트서 왜?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