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김용철 대변인 “강원도, 심리적인 거리 가까워진 게 큰 수확”

  • 등록 2018-03-19 오전 6:00:00

    수정 2018-03-19 오전 6:00:00

김용철 강원도 대변인이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조희찬 기자)
[강릉=이데일리 스타in 조희찬 기자] “‘먼 산골짜기’인 줄만 알았던 강원도가 사람들 머릿속에서 더 가까워진 것, 그게 가장 큰 수확이죠.”

18일 평창 동계패럴림픽 폐회식을 앞두고 만난 김용철 강원도 대변인은 이번 대회의 가장 큰 수확 중 하나를 꼽아달라는 말에 이같이 말했다. 이번 대회를 위해 서울과 평창, 강릉을 잇는 경강선이 지어졌다. 2020년에는 춘천과 속초를 잇는 고속열차도 개통 예정이다. 1970~80년대 버스로 길게는 12시간 가까이 걸리던 강릉과 속초가 서울에서 1시간30분 만에 도달할 수 있는 거리가 됐다. 강원도도 이제 당일치기 여행이 가능해졌다. 김 대변인은 “강원도와 서울의 심리적인 거리가 좁혀졌고 이제 강원도도 쉽게 갈 수 있는 곳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경강선 고속철도 건설 등 인프라 구축에만 9조원이라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투입됐다. 대부분 국비와 지방비로 충당됐다. 평창 조직위는 운영비용만 놓고 봤을 때 이번 올림픽이 ‘흑자 올림픽’이라고 주장하지만 대부분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김 대변인은 “평창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을 위해 호텔과 컨벤션 장소도 많이 늘어났다. 기업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s), 컨벤션(convention), 전시(exhibition) 서비스를 의미하는 ‘MICE’ 산업 유치도 기대되고 있다”며 “객관적인 관광객 증가수는 아직 산정하기 어려우나 늘어나는 것을 체감하고 있다. 이번 올림픽에만 500만명의 관광객이 강원도를 찾았다”고 전했다.

평창 올림픽을 위해 지어진 경기장들이 자칫 ‘흰코끼리’(올림픽 등 대형 행사를 치르기 위해 지어졌지만, 이후에는 쓸모가 없어 애물단지가 돼버린 시설)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 강원도청이 연구용역을 의뢰해 작성한 ‘2018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 운영수지 분석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대회 후 경기장을 정상적으로 운영한다면 연간 95억원 가량의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조사됐다. 평창 올림픽이 열린 13개 경기장 중 7곳은 대회를 위해 새로 지어졌다.

김 대변인은 “국민이 올림픽 시설 사후활용에 대해서 많은 걱정을 하시고 계시다. 경기장 모든 곳의 사후 활용이 어렵다는 등 염려하시는 분도 많지만 대부분의 경기장은 운영 주체를 이미 확정했다”며 “강릉아이스아레나와 컬링경기장은 강릉시, 관동아이스하키센터 등은 관동대 등, 용평리조트는 용평 등에서 이미 운영주체로 낙점됐다”고 말했다.

다만 일반 시민보단 전문 체육인들을 위한 시설로 유지되야 하는 슬라이딩센터, 스키점프대,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등은 국가와 도가 의무분담을 해 활용해야 한다는 게 강원도의 의견이다. 국민의 체육 증진 뿐 아니라 국가대표 선수들을 육성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시설들이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김 대변인은 “(시설물들은) 동계 스포츠의 저변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우리나라에 좋은 경기장을 가지고 유지할 수 있다면 선수들이 해외 전지 훈련에 쓰는 비용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국내에 머물며 훈련할 수 있다. 또 다가오는 2022년 베이징 대회를 앞두고 다른 나라들이 훈련 캠프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피력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돌발 상황
  • 2억 괴물
  • 아빠 최고!
  • 이엘 '파격 시스루 패션'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