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권가는 올 하반기와 내년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 실적시즌의 풍향계 역할을 하는 삼성전자(005930)의 3분기 잠정 실적이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했다. 중간재 비중이 높은 국내의 경우 미국처럼 높은 비용 전가력(비용 상승을 가격에 반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평이다. 이날 기준 코스피 3분기와 4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개월 새 각각 0.03%, 0.68% 하락했다. 내년 하향 조정 폭은 더 크다. 내년 코스피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231조9819억원으로 1개월 전 대비 2.46% 내렸다.
전문가들은 기업 이익이 반등하려면 위드 코로나 국면 공급망 차질 완화를 통한 생산활동 정상화, 중국의 추가적인 경기 둔화 우려 해소, 미국 4분기 인프라 투자 법인 조기 통과 등 요소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현 악재들이 해소되면 자연스럽게 경기가 상승세로 돌아서고 기업 이익 전망치도 상향 곡선을 그릴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정다운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비용 압박이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도 실적 컨센서스가 상승하는 종목들을 주목해야 한다”며 “이익 모멘텀이 양호한 리오프닝 관련주와 IT 중소형주, 비용 전가력을 증명해 온 종목들에 대한 접근이 유효하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