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계는 의무공개매수 도입 취지에는 대체로 공감하면서도 저마다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상장사 경영권을 인수하며 트랙레코드(투자이력)를 쌓아온 PEF 운용사들은 시장 위축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한 PEF 운용사 임원은 “시장을 냉각시키는 효과는 분명히 있으므로, 속도와 깊이 측면에서 정부가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특성을 고려해주길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제도 도입에 1년의 유예 기간이 주어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상장사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운용사들은 회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저마다 대응책 마련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당장 유예기간이 끝나기 전 투자금 회수를 추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자사주 소각 등을 통해 지분율을 50% 이상 확보하거나 25% 이하로 낮춰 규제를 피해가는 대안 등이 거론된다.
반면 경영권 프리미엄을 내지 않고 소수 지분에 투자한 뒤 거버넌스 개선을 요구해 온 행동주의 펀드들은 의무공개매수 제도를 반기는 분위기다. 이들은 국내 자본시장의 공정성이 ‘진일보’했다고 평가하는 한편 100%가 아닌 ‘50%+1주’라 아쉽다는 반응이 많았다.
행동주의 펀드 집합체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제도 도입을 적극 환영하며 △의무공개매수제도 대상 지분 100%로 확대 △자사주를 통한 부당한 지배력 확대 차단 등을 향후 개선사항으로 꼽았다. 포럼의 주요 회원사 중 한 곳인 신생 PEF 운용사 관계자는 “주식 한 주에 대한 가치는 동일해야 한다”며 “주주 민주주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