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net 블라인드 오디션 `보이스코리아`에 출연한 가수 강미진과 러브홀릭스 객원보컬 장은아(사진 왼쪽 위부터)그리고 KBS2` 밴드 오디션 `톱밴드2`에 지원한 그룹 트랜스픽션과 칵스 그리고 피아(사진 오른쪽 위부터) |
|
이데일리신문 | 이 기사는 이데일리신문 2012년 03월 27일자 37면에 게재됐습니다. |
[이데일리 양승준 기자] `중고신인`이 오디션 프로그램 `태풍의 눈`으로 떠올랐다. Mnet `더 보이스 오브 코리아(이하 `보이스 코리아`)`에는 배틀라운드에 오른 48명 중에 강미진을 비롯해 음반을 냈던 가수 출신이 7명이 넘는다. 오는 5월 방송을 앞둔 KBS2 밴드 오디션 `톱밴드 2`도 `별들의 잔치`다. 서태지가 키운 그룹 피아부터 `내게 돌아와`로 유명한 트랜스픽션까지 `톱밴드2`에 문을 두드렸다. 칵스·몽니 등 홍대에서 주목받고 있는 밴드만도 10여 팀이 지원했다. `중고신인`의 오디션 `홍수`다. 가수들의 출연이 뜸했던 1~2년 전 오디션 지원 경향과는 사뭇 다른 풍경이다. `얼굴없는 가수`들의 자기 홍보 의지와 제작진의 영입 노력이 맞물려 오디션 프로그램에 `중고신인` 봇물 현상이 나타났다는 게 방송관계자들의 중론이다.
`중고신인`은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진에게 매력적인 `자원`이다. 검증된 실력은 기본. 때문에 출연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제작진 입장에서는 프로그램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슈퍼스타K`· `위대한 탄생` 등 일반인 위주 오디션 프로그램과 차별화 포인트로 작용하기도 한다. `보이스 코리아`는 보컬 트레이너 등 준프로급 가수들의 대거 출연으로 높아진 시청자의 귀를 사로잡는 데 성공했다. `중고신인`은 이슈 몰이에도 도움이 된다. `보이스코리아`는 `중고신인`의 당락 여부가 매회 인터넷 실시간 검색어를 장악했다. `톱밴드2`도 방송 두 달 전부터 유명 밴드의 지원 봇물 소식으로 화제다. 여러 가요 관계자에 따르면 두 프로그램 제작진은 제작 단계부터 기획사 대표 등을 만나거나 녹음실 등을 들러 `중고신인`의 지원을 유도했다.
하지만 `중고신인` 오디션 봇물에 대한 우려도 적잖다. `중고신인`에 밀려 정작 신인들이 설 자리가 줄어드는 게 아니냐는 걱정이다. 뿐만이 아니다. `중고신인` 대거 유입은 `오디션 프로그램 생태계`까지 흔들 수 있다. 신인 발굴이라는 오디션 프로그램 정체성을 흔들고 `중고신인` 홍보의 장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다. 양 제작진은 "중요한 것은 지원자의 이력이 아닌 실력"이라는 입장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우려의 시선은 쉬 걷히지 않고 있다. 시청자 박훈희 씨(38)는 "문제는 생방송 문자투표"라며 "`중고신인` 중에는 이미 팬덤이 형성된 가수도 있는데 이들과 붙는 일반인 지원자는 시청자 문자 투표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중고신인`이란 양날의 검을 품은 제작진이 풀어야 할 새로운 숙제다.
☞중고신인=연예계에 데뷔했지만 뜨지 못해 대중적으로 얼굴을 알리지 못한 가수·배우들을 일컫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