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답은 3번 ‘농협은행’과 ‘우리은행’입니다.
요즘 같은 고금리 시대에 일부 은행의 전세대출 금리 인하는 이자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세입자들에겐 가뭄 속 ‘단비’ 같은 소식일텐데요.
이는 금융당국이 최근 금융사의 대출금리를 주시한다고 밝히며 금리 인상 자제 신호 메시지를 보낸 직후 부터입니다. 전세대출 금리가 최근 연 7% 중반대까지 치솟으면서 서민경제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정부가 판단했고 당국의 대출 금리 모니터링 발언이 나오자, 은행들도 이에 응답하기 시작했습니다.
대상상품은 서울보증보험과 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등이 보증하는 NH전세대출 상품입니다. 이에 따라 서울보증 NH전세자금 대출 상품(금융채 24개월 기준)의 금리는 지난 15일 기준 연 5.61∼6.91%에서 내년부터 연 4.81∼6.91%로 하향 조정됩니다.
주택금융공사 보증 상품(금융채 24개월)은 연 5.64∼6.94%에서 연 4.84∼6.94%로, 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 상품(금융채 25개월)은 연 5.61∼6.91%에서 연 4.81∼6.91%로 각각 인하됩니다. 상단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최근까지 하단 기준 연 5% 중반대였던 전세대출 금리가 다시 연 4%대로 떨어지는 셈입니다.
이보다 앞서 우리은행은 지난 9일 신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6개월 변동 기준으로 전세대출 금리를 인하한다고 밝혔습니다. 전세대출 보증기관에 따라 주택보증(주택금융공사)의 경우 0.85%포인트, 서울보증(서울보증보험)의 경우 0.65%포인트 인하됐는데요.
이에 따라 우리은행 내부 신용등급 기준으로 3등급인 고객이 만기일시상환 조건으로 주택보증 우리전세론을 이용할 경우 금리는 지난 8일 기준 6.26∼6.66%였지만, 9일부터는 5.41∼5.80%로 이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농협과 우리은행이 전세 대출금리를 인하하면서 타 은행들도 이에 동참할지는 미지수입니다. 현재 국민과 신한, 하나은행 등 나머지 은행들은 금리 인하 계획은 없다고 밝혔지만, 적어도 섣불리 금리 상승폭을 키우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차주들의 부담이 워낙 큰 만큼 은행권에서 지금보다 더 적극적으로 고통분담에 나서 달라는 당국의 금리 인상 자제 신호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