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란봉투법이 통과되면 노조는 사측과의 협상과정에서 협상력을 더욱 크게 키울 수 있다. 노동계는 이미 문재인정부 시절 정권의 비호아래 노조조직률을크게 높여 협상력을 높인 바 있다. 노조조직률은 전체 임금 근로자 중 노조에 가입한 근로자의 비율을 의미하는데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6년까지 약 10%대를 유지하다가 문재인정부시절인 2018년(11.8%)과 2019년(12.5%)에 크게 상승했다. 특히 민주노총은 2017년 71만명이던 조합원수가 2018년 97만명으로 급증, 당시 93만명이던 한국노총 조합원을 추월하더니 급기야 2019년 104만명으로 백만명 시대를 열며 몸집을 크게 불렸다.
이런 연구결과가 나오게 된 건 노조가 협상력을 강화하게 되면 임금프리미엄이 발생해 대기업 근로자의 임금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인건비 증가로 대기업은 충원할 일자리를 줄이게 되고, 이로 인해 대기업의 생산량은 다시 감소해 결국 실질GDP도 축소된다.
임금은 노동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게 바람직하다. 노조가 집단적 힘을 앞세워 협상력의 우위를 통해 사측과 임금협상에 합의하게 되면 사실상 시장은 왜곡되게 마련이다. 물론 협상력이 약한 중소기업 등에선 어느 정도 노조의 힘을 반영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투적인 노조가 있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임금결정의 비정상이 장기화하면 해당 기업은 물론 경제전체의 효율은 크게 떨어지게 마련이다. 노란봉투법 논란을 보면서 이 법이 통과될 경우 노사간 임금결정구조가 얼마나 왜곡될지 그래서 경제에 얼마나 악영향을 미칠지 우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