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사격, 한국 선수들과 단체 사진 촬영 거부…애국가 제창 때 태극기 안봐[아시안게임]

  • 등록 2023-09-26 오전 10:42:55

    수정 2023-09-26 오전 10:42:55

한국 러닝타깃 대표팀(오른쪽)이 25일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10m 러닝타깃 단체전 시상식에서 북한 대표팀에 손짓하고 있다.(사진=AFPBBNews)
[이데일리 스타in 주미희 기자] 전날에는 악수를 거부하더니 이번에는 단체 사진 촬영까지 거부했다. 북한 대표팀의 한국 대표팀을 향한 적대심이 이어지고 있다.

25일 정유진(청주시청), 하광철(부산시청), 곽용빈(충남체육회)으로 구성된 러닝타깃 한국 남자 대표팀은 남자 10m 러닝타깃 단체전에서 1668점으로 금메달을 따냈다. 한국은 북한과 같은 1668점 동률을 이뤘으나 10.5점 이상을 명중시킨 숫자에서 39개-29개로 앞서 극적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날 금메달만큼이나 이목을 끈 건 시상대 위에서의 북한 대표팀의 행동이다. 뒤늦게 북한 대표팀이 한국 대표팀 등 메달리스트들과 시상대 위에서 단체 사진을 찍는 것을 거부한 것이 뒤늦게 밝혀졌기 때문이다.

로이터통신은 “금메달을 아깝게 놓친 북한 사격 대표팀이 메달을 딴 선수들과 찍는 단체 사진에서 한국 선수들과 함께 촬영하는 것을 거부했다. 우승자인 한국의 애국가 제창 때는 국기를 향해 서는 것도 거부하며 전통을 깼다”고 전했다.

모든 메달 수상자들이 금메달을 딴 선수 주위로 모여 단체 사진을 촬영하는 것은 모든 국제대회의 관례다. 동메달을 딴 인도네시아는 시상대 맨 윗자리 한국 선수단의 옆에 자리해 함께 사진을 찍을 준비를 했지만, 북한 대표팀 권광일, 박명원, 유송준은 그렇지 못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설명했다.

로이터통신은 “시간이 계속 지연되자 한국 선수 중 한 명이 북한 선수 어깨를 잡고 그들에게 말을 걸려고 했지만 북한 선수들은 침묵을 지켰고 한국 선수들이 서있 는 왼쪽을 바라보지도 않았다”고 전했다.

결국 마지막에 시상대에서 내려와서는 북한 대표팀과 한국 대표팀이 나란히 사진을 찍었다.

북한은 코로나19 여파로 2021년 도쿄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불참해 지난해 연말까지 국제대회에 출전할 수 없는 징계를 받았다. 올해 징계가 해제돼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이후 5년 만에 국제 무대에 복귀했지만 연일 논란을 낳고 있다.

세계도핑방지기구(WADA)가 2021년 북한이 국제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올림픽과 패럴림픽을 제외한 국제대회 인공기 게양을 금지했지만, 23일 열린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회식에 버젓이 들고 나와 논란이 됐다.

전날에는 유도 남자 73kg급 16강전에서 북한의 김철광이 한국의 강헌철을 이긴 뒤, 강헌철의 악수와 인사를 거부하기도 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