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센터에 들어서면 강제징용 희생자들을 기릴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유네스코 주재 일본 대사의 5년 전 발언이 전시돼 있다고 한다. 악명 높은 하시마(일명 군함도) 등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반대에 부딪치자 일본 스스로 약속한 내용이다. 당시 일본 대사는 “1940년대에 한국인 등이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 노역했다”는 사실도 시인했다. 하지만 그게 전부다. 일본은 과거 잘못에 대한 반성이나 희생자 추모는 철저히 외면했다. 약속했던 희생자 기념관도 배제됐다.
일본의 역사 왜곡은 습관적이다.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사과해 놓고 돌아서서 딴소리한 게 한두 번이 아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유네스코를 비롯한 국제사회에 대한 약속을 깼다는 점에서 묵과하기 어렵다. 오죽하면 일본 언론조차 “과거 사실을 덮고 역사 수정주의를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을 것”이라고 지적했겠는가.
외교부는 어제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강제징용 역사 왜곡을 항의했다지만 그 정도로 그쳐선 곤란하다. 일본 정부에 당당하게 시정을 요구해야 한다. 국제사회와 공조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산 등재를 취소시키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기 바란다. 다만 일본의 뻔뻔한 역사 뒤집기에 제동을 거는 국가적 과제에 국내정치 상황이 끼어들어 일을 그르치는 사례가 되풀이돼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