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강대석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코스피가 연초 이후 온갖 비관론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2일 코스피 지수는 2022년 6월 9일 이후 약 1년 만에 2600선을 뛰어넘으며 2601.4에 거래를 마쳤다.
강 연구원은 “여기서 폭락하지만 않는다면 조만간 52주 신고가를 경신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또 강세장에 진입했다”고 판단했다.
현재 코스피는 지난 9월 말 종가 기준 저점인 2155.5포인트 대비 20.7% 상승했다. 처음으로 종가기준 저점 대비 20%라는 소위 강세장의 기준을 만족시켰다는 평가다.
이어 “시계열 측면에서 보면 과거 저점 대비 20% 강세장에 진입한 이후 미약하게 끝나버렸던 2017년말~2018년초와 같은 국면도 있지만 이때와 달리 현재는 이익의 피크아웃 아닌 바텀 아웃이라는 관점에서 차이가 있다”라고 말했다.
강 연구원은 “국내증시의 향후 이익전망에 점차 낙관론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기업이익의 턴어라운드가 결국 주가지수의 강세장 진입에 대한 신뢰도도 높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물론 강세장 진입 초기 상황에서 빈번하게 언급되는 것은 결국 가격 자체에 대한 부담이다.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 욕구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강 연구원은 “그러나 최근 주목할 만하다고 판단되는 것 중 하나는 주식시장 참여자들의 투자 심리에 대한 것”이라며 “미국 개인투자자들의 심리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강세장(Bull)보다는 약세장(Bear)에 대한 예상이 우세하다”고 지적했다.
미국 액티브 펀드매니저들의 증시 노출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개선되고는 있지만 과거에 비해 낙관 편향이라고 보기 어렵다. 증시가 강세장에 진입한 것과는 상반되는 흐름이다.
이에 그는 국내증시에서는 예탁금과 신용잔고를 통해 투자심리를 엿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 연구원은 “차액결제거래(CFD) 이슈 이후 신용잔고는 늘지 않는 반면 증시 대기자금이라고 할 수 있는 예탁금은 다시 증가하고 있다”면서 “차익실현 흐름이 발생하더라도 낙폭을 제한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