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리인상 움직임으로 우리도 뒤따르지 않을 수 없는 만큼 가계부채대책은 불가피한 조치로 보인다. 이미 시중에서 연 5%에 육박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더 오르게 되면 빚을 갚지 못하는 가계가 폭증할 것은 뻔하다. 가계부채는 규모도 크지만 증가 속도가 빠른 것도 문제다. 작년 말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93% 수준으로, 증가 속도가 세계 주요 43개국 중 3위다.
여기에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을 1년 단위로 산출하고 장래소득까지 고려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추가되면 은행돈으로 집 사는 시대는 끝났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당초 내후년으로 예정됐던 DSR 도입 시기는 이번 조치로 내년 하반기로 앞당겨졌다. 이를 통해 자영업자 대출과 제2금융권 대출 등을 억제해 연평균 12%에 육박하는 가계부채 증가율을 8% 안팎으로 낮춰 연착륙을 유도한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그러나 가계부채는 단칼에 해결이 안 되는 난제 중의 난제다. 역대 정부의 경우에서 보듯이 부동산 고삐만 잡으면 그만이라는 식의 단세포적 대응으로는 ‘하우스 푸어’, ‘깡통전세’ 등의 부작용을 키우고 갈 곳 잃은 부동자금이 여기저기서 풍선효과를 일으키도록 유발할 뿐이다. 인구 절벽과 1인 가구 증가 등에 따른 주택소비구조의 정확한 예측과 다양한 금융상품 개발 등으로 망국병인 투기의 싹을 자르는 게 요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