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신하영·김형환 기자] “서양 속담에 밀물은 모든 배를 끌어올린다란 말이 있다. 글로컬대학은 지방대 생존·발전을 위한 선도 모델을 만드는 프로젝트이지 살생부가 아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달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교육부의 지방대 살리기 프로젝트인 글로컬대학 사업을 이렇게 설명했다. 교육부가 지난 4월 발표한 ‘글로컬대학 30 추진방안’에 따르면 교육부는 올해 10곳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지방대 총 30곳을 글로컬대학으로 선정, 대학당 연간 200억원씩, 5년간 총 1000억원을 지원한다.
이러한 ‘역대급 재정 지원’에 더해 학령인구 감소세가 워낙 가팔라지고 있어 대학가에선 글로컬대학 선정 여부가 지방대 간 생사를 가를 ‘대학 살생부’가 될 것이란 분석에 힘이 실렸다. 교육부가 생존할 지방대를 선별하기 위해 고안한 대학 구조조정 정책의 일환이란 해석인 셈이다.
이 부총리는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 전체가 평가 절하돼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글로컬대학 사업을 통해 새로운 혁신모델이 나온다면 지방대 위상 전체가 높아질 수 있다”고 했다. 해당 사업을 통해 지방에서도 생존·발전하는 대학이 나오면 이런 혁신 사례가 전체 지방대로 확산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 부총리는 “사업 신청서에는 대학 발전을 위해 규제 혁파가 필요한 부분을 제안해달라고 했다”며 “사업 탈락 대학에는 재정 지원은 하지 못하더라도 규제 개혁을 통한 행정적 지원은 하겠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대학 생존·발전의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풀어 그 효과가 전체 대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도록 하겠다는 얘기다.
한편 교육부는 글로컬대학 신청 대학에 대한 선정평가를 거쳐 이달 중 15개교를 예비 지정한 뒤 오는 10월 말까지 이 중 10곳을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예비 선정 심사에선 △혁신성(60%) △성과관리(20%) △지역적 특성(20%)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기존의 대학 운영 틀을 뛰어넘는 혁신성을 가장 비중 있게 평가하겠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