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놈소리 들어도 신명나는 것, 그것이 농악"

농악 지키는 사람들…김용래 무형문화재
"상모 돌리다 집안어른 눈밖에 나
외국사람들 더 알아주더라"
갈수록 토착성 악화되고 예능화
계승 젊은이 찾기 어려워
행사 늘려 지역 곳곳 뿌리내려야
  • 등록 2014-12-01 오전 6:42:30

    수정 2014-12-01 오후 3:28:09

농악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축하하는 기념행사 공연. 지난 29일 서울 인사동에서 농악 공연을 즐기던 이영남(19)씨는 “대학교에서 풍물패 동아리 활동을 해 즐기러 왔다”며 “대학생들도 접할 기회만 많으면 분명 관객과 호흡하는 농악의 매력에 빠질 것”이라며 웃었다(사진=방인권 기자 bink7119@).


[이데일리 양승준 기자] 금발의 두 외국인이 발을 구르며 공연에 빠졌다. 두 남자 대학생도 어깨를 들썩이며 음악을 즐겼다. K팝 콘서트장? 아니다. 지난달 29일 정오. 서울 종로구 인사동 남인사마당이다. “꽤갱 갱갱, 꽤갱갱갱~.” 농악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기념해 임실필봉농악(중요무형문화재 제11-5호)대가 풍악을 울리자 서울시내 한복판이 시골장터가 됐다. 경쾌한 꽹과리·장구·북소리에 잡색이 춤으로 흥을 돋우자 관객도 농악대가 됐다.

외국인과 잡색은 서로 마주 보고 웃으며 춤을 췄다. 지켜보던 청년들도 공연에 뛰어들어 농악대를 따라 원을 그리며 덩실댔다. 경복궁까지 춤을 추며 농악대 행렬을 따른 멕시코 여성 나디아는 “정말 재미있고 신난다. 친근함이 느껴져 자연스럽게 어울리게 됐다”며 웃었다. 대학에서 풍물패 동아리 활동을 한다는 홍시화(20) 씨는 “서로 소리를 맞춰가고 그 과정에서 관객과 함께하며 무질서와 질서가 공존하는 게 농악의 매력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 판을 벌인 임실필봉농악은 남성적인 가락을 중심으로 개인의 기교보다 단체의 화합을 중요시하는 공연을 주로 꾸리는 게 특징이다.

중요무형문화재 평택농악 예능보유자 김용래 선생(사진=방인권 기자).
▲“외국인이 더 알아줘”…농악 명인의 한탄

“쌍놈 소리 들어가며 했지.” 평택농악(중요무형문화재 제11-2호) 예능 보유자 김용래(74) 선생은 농악을 시작하면서 집안 어른의 눈밖에 났다. 4대 독자인데 제사도 거르며 꽹과리를 잡고 전국을 돌아다녔다. 김 선생은 열두 살에 무동으로 농악에 발을 들였다. 여덟 살 때 천안에서 벌어진 난장을 보고 농악의 매력에 푹 빠졌다.

“신명이지 뭐.” 농악대에 들어간 그는 “상모가 돌려보고 싶었는데 그땐 상모를 파는 곳도 없어 구하기 어려웠다”며 “농악대 사람들 잘 때 방에서 몰래 상모를 들고 와 달빛에 혼자 연습했다”고 옛 얘기를 꺼냈다. 4년간 밤마다 3~4시간씩 상모를 돌린 소년은 열여덟에 결국 농악대에서 상모를 돌릴 수 있게 됐다. “농악에 대한 신념? 어려서는 몰랐지. 꼭 해야 한다는 것보다는 마음으로 하고 싶다는 생각이 더 컸어. 그래서 가난하고 고돼도 여태까지 농악을 할 수 있었던 것 같아.”

김 선생은 60여년 동안 가장 기억에 남는 공연을 묻자 경복궁 옆 궁정동 칠궁에서의 일을 꺼냈다. 사물놀이 명인 김덕수가 여덟 살 때 김 선생의 어깨 위에 올라가 무동으로 공연하다 떨어진 일이었다. 김 선생은 농악이 전 세계인의 문화유산이 된 데 “감히 생각도 못했던 일”이라고 기뻐하면서도, 농악에 대한 낮은 사회적 관심에 대한 걱정도 털어놨다. “한국사람이 외국사람보다 못한 거 같아. 외국인이 농악을 더 알아주니까.” 이어 김 선생은 “더 큰 문제는 농악을 이을 젊은이를 찾기 어렵다는 것”이라며 “농악 하는 사람들 밥 먹고 살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선생이 이끈 평택농악은 무동놀이 같은 기예가 보태져 역동성이 짙다.

▲“지역성 약화·빠른 동작으로만 예능화”

그러나 사회·문화적 입지가 좁은 농악에서 미래를 찾는 젊은이도 있다. 한창현(10) 군은 세 살 때 농악을 시작해 평택농악보존회 무동으로 특별회원이 됐다. 평택고에서 하는 농악공연을 보고는 시쳇말로 ‘꽂혀’ 이후에는 농악만 팠다. 친구들이 듣는 댄스음악 대신 인터넷에서 민요를 찾아들었다. 광화문 시민열린마당에서 만난 한군은 “실력을 더 키워 농악을 세계에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또 전북 정읍농악보존회에서 10년 동안 활동한 김정곤(33) 씨는 “사람들에게 가장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게 농악이고 젊은 세대와 소통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열심히 배우며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농악의 보존과 계승을 위해 풀어야 할 숙제도 있다. 농악의 지역성이 약화되고, 격렬하고 빠른 동작 위주로 예능화돼가고 있다는 우려다. 토착성이 강한 농악이 실제 생활과 분리되고 전문연희로서의 성격이 강화되면서 생긴 변화다. 이를 두고 이재필 국립무형유산원 조사연구기록과장은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농악행사 지원을 장려해 지역성이 약화되고 있는 농악이 지역에서 뿌리내리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농악의 대중화를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가 추진하고 있는 문화예술사자격증제도와 문화가 있는 날 등과의 정책연계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

▶ 관련기사 ◀
☞ K팝 대신 농악…"한국판 '위 아 더 월드'"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깜짝 놀란 눈…뭘 봤길래?
  • "내가 몸짱"
  • 내가 구해줄게
  • 한국 3대 도둑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