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가 국제금융시장에서 왕따 신세라는 사실이 더 문제다. 전체 상장주식의 30%를 보유하고 있는 외국인 투자자의 시장 외면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코리아 패싱’으로 자본이 국외로 대거 유출되는 양상에 이르렀다. 이달에만 외국인 자금이 5조원가량 빠져나가는 바람에 세계적으로도 최대 폭의 주가 하락을 기록했다. 심지어 경제 파탄으로 국제통화기금(IMF)의 급전을 수혈 받은 아르헨티나보다도 낙폭이 컸다.
하지만 단기 미봉책으로 주식시장이 활력을 되찾을지는 의문이다. 김 부총리도 인정했듯이 우리 경제가 매우 어려운 국면에 처했다는 게 핵심 요인이다. 그에 걸맞은 처방이 아니면 그 어떤 대책도 주식시장을 살리기 어려울 것이다. 지금처럼 반(反)기업·친(親)노조 일변도의 정책으로는 장래 가치에 투자하는 주식시장의 유인책이 될 수 없다는 얘기다.
주식시장은 실물경제의 반영인 동시에 미래의 투영이다. 증시를 살리려면 반기업 정서를 없애고 기업 스스로 투자하고픈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에너지 정책도 마찬가지다. 정부가 어제 새만금지구에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개발에 착수했지만 탈(脫)원전 정책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 전력 단가를 높임으로써 기업 부담으로 작용하게 될 뿐이다. 최저임금 정책에 있어서도 속도조절이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