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총회는 17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본회의를 열어 북한인권결의안을 표결 없이 컨센서스(전원합의)로 채택했다. 앞서 인권담당인 제3위원회는 지난달 15일 유엔본부 1회의장에서 회의를 열어 이 결의안을 통과시켰던 만큼 예상됐던 수순이다. 지금까지 위원회를 통과한 결의안이 본회의에서 뒤집히는 경우는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컨센서스로 채택된 건 지난 2012~2013년과 2016~2017년에 이어 올해가 5번째다. 북한 내 인권을 바라보는 국제사회의 시선이 그만큼 차갑다는 의미다. 이번 결의안 작성은 과거와 마찬가지로 유엔주재 유럽연합(EU)과 일본 대표부가 회원국들의 의견을 반영해 주도했다.
눈여겨볼 대목으론 “현재 진행 중인 외교적 노력을 환영한다”며 비핵화 협상에 대해 ‘환영’ 입장이 새로 들어간 부분이다. 또 남북 이산가족 문제에 대해 “문제의 시급성과 중요성에 주목하고, 2018년 8월 남북 이산가족상봉 재개를 환영하며, 이산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인도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2018년 9월 남북정상회담 합의를 환영한다”는 내용도 새로 포함됐다.
한국은 2008년부터 공동제안국 자격으로 참여해왔다. 올해도 총 61개 공동제안국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 북한은 지난달 유엔 제3위원회의 결의안 통과 때와 마찬가지로 이날 강하게 반발했다. 김성 유엔 주재 북한대사는 “결의안에 언급된 인권침해 사례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몇몇 탈북자들에 의해 조작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결의안 작성을 주도한 일본에 향해 “(제2차 세계대전) 전범국이 인권을 언급하는 건 놀랍고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비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