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총리는 “피해지역 지자체는 신속히 피해조사를 마무리해 주시고, 행정안전부에서는 선포기준에 충족되는 지자체에 대해 특별재난지역 조기 선포를 위한 절차를 최대한 서둘러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원스톱 진료기관 9900여개소를 확보했고, 그 중 6500개소를 대상으로 현장 운영상황을 점검했다”며 “이에 따라 검사와 처방, 대면진료가 원스톱으로 이뤄지지 않는 기관에 대해서는 이를 보완토록 하고,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현재 정부는 7080개의 코로나 치료병상을 지정하여 운영중”이라며 “이를 통해 확진자 21만명 수준까지 대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에 더해, 많은 병원들의 참여로 7200여개의 일반병상에서도 코로나 환자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더 많은 확진자가 발생하더라도 충분히 대응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 총리는 “전국적인 병상관리는 물론 7개 권역별 병상운영실태를 수시로 파악해 지자체별 병상 격차를 해소하고, 병상운영의 효율성을 높여나가겠다”며 “정부는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해열제 등 감기약의 수급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공급 확대를 독려하고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특히, 수급불균형이 우려되는 약품의 경우, 사용량 증가시 가격을 인하하는 ‘약가 연동제’ 적용을 완화해 제조사들이 망설이지 않고 생산을 늘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