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은 이란의 한국인 선원 억류 문제에 단호했다. 그러면서도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이란의 전략을 역이용해 문제를 해결하자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국제 제재를 활용해 석유대금 문제를 해결하고 사법적 절차를 통해 한국인 선원의 억류를 해제하자는 게 골자다.
|
다만 한국 선박 나포 및 한국인 선원 억류 문제와 석유대금을 연결해 해결해서는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공식적으로 이를 인정하게 되면 이란 정부가 해적 행위를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정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란 정부는 공식적으로 환경오염 문제를 이유로 선박을 나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 간 경색국면에는 “두 국가 모두 외교력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양국 간 쟁점인 위안부 판결과 징용공 판결을 분리해서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송 위원장은 “일본 최고법원도 개인청구권의 존재를 인정했다. 일본 기업이 징용공에 변제하면 해결되는 일인데 일본정부가 간섭해서 어렵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송 위원장은 “(양국의 문제는) 돈이 아니라 사과의 문제다”며 “강창일 신임 주일대사가 해법을 만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방한 문제와 관련, “코로나19 때문에 당장은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방한한다면) 사드(TTHAD) 배치 이후 냉랭한 관계가 복원된 의미를 내포한다”고 평가했다. 다만 미중 갈등이 심화하는 상황이어서 시 주석의 조기 답방이 한국에 좋은 것만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한편, 오늘 4월 재보궐 선거 전망에 대해서는 “선거는 끝까지 가봐야 알 수 있다”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