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재훈(25·강원도청), 이호준(22·대구광역시청), 김우민(22), 황선우(20·이상 강원도청)가 나선 한국 대표팀은 25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 수영장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수영 경영 남자 계영 800m 결선에서 7분01초73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터치패드를 찍었다.
종전 기록은 전신 수영복 시절이던 2009년 일본이 이탈리아 로마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세운 7분02초26이었다. 종전 아시아신기록을 한국이 14년 만에 0.53초 앞당겼다.
한국 수영이 아시안게임에서 단체전인 계영 종목 금메달을 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은 그동안 아시안게임 계영에서 은메달만 4개(1990년 베이징 여자 계영 400m, 1994년 히로시마 남자 계영 800m, 2010년 광저우 남자 혼계영 400m, 2014년 인천 여자 혼계영 400m)를 따낸 바 있다.
하지만 이번에 아시아신기록으로 사상 첫 계영 금메달을 수확하면서 한국 수영의 새로운 페이지를 썼다. 한국 수영은 앞서 열린 남자 자유형 50m 지유찬(21·대구광역시청)에 이어 이날만 금메달 2개를 따내는 쾌거를 이뤘다.
전날 자유형 100m에서 동메달을 딴 뒤 아쉬워했던 황선우는 자신의 두 번째 아시안게임 메달을 금빛으로 장식했다. 함께 결선 레이스를 펼친 이호준, 김우민, 양재훈도 아시안게임 첫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예선에 출전한 이유연(한국체대), 김건우(독도스포츠단)도 생애 첫 아시안게임 금메달의 기쁨을 누렸다.
양재훈이 1번 영자로 스타트를 잘 끊었다. 양재훈은 중국, 일본과 함께 3파전을 유지했다. 3위를 유지하다 150m 지점을 지난 뒤 스퍼트를 내 중국에 이어 2위로 200m 지점 터치패드를 찍었다.
2번 영자 이호준은 중국을 제치고 선두로 나섰다. 250m 지점부터 한국이 1위를 계속 지켰다. 이호준과 중국, 일본 선수의 격차는 점점 벌어졌다.
마지막 영자는 에이스 황선우였다. 황선우는 스피드를 더욱 내면서 중국과 차이를 더욱 벌렸다. 이미 중국은 따라잡기 어려울 정도로 거리가 멀어졌다. 황선우가 700m 지점 터치패드를 찍을 때 차이가 3초 이상 나기 시작했다.
황선우는 마지막 50m를 남기고 더욱 속도를 냈다. 중국 판잔러가 마지막에 추격전을 벌였지만 황선우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개최국 중국은 왕순, 뉴광성, 양하오위, 판잔러 등 젊은 신예들을 내세워 2010년 광저우 대회 이후 13년 만의 정상 탈환을 노렸지만 한국의 벽을 넘기에 역부족이었다. 7분03초40으로 한국에 1초67 뒤져 은메달에 만족해야 했다. 동메달은 7분06초29의 일본이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