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전두환 사망에 "지옥서도 저주받을 악도" 악담 왜?

北통일신보, 전두환 전 대통령 사망 첫 보도
"극악무도한 살인마, 독재광, 철면피한" 맹비난
"흡수통일은 개꿈"…반공주의 정책 비판
  • 등록 2021-11-28 오전 11:22:32

    수정 2021-11-28 오후 3:58:17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전두환 전 대통령이 향년 90세로 사망한지 이틀째인 24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신촌장례식장에 마련된 빈소에 한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북한 선전매체가 지난 23일 사망한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해 “저승길에 올라서도 남녘민심의 저주와 비난을 받은 역도”라고 비난했다. 전 전 대통령의 사망과 관련해 북한 매체의 보도가 나온 것을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의 대외용 주간지 통일신보는 27일자 단평 ‘지옥에 가서도 저주를 면치 못할 극악한 대결광’에서 “그는 남조선에서 12·12숙군쿠데타로 권력을 강탈하고 온 광주시를 피바다에 잠그었던 극악무도한 살인마”라며 전 전 대통령의 사망소식을 전했다.

이 매체는 “두 손을 인민들의 피로 물들이고 권력을 강탈하고 민주를 교살한 도저히 용서 못 할 치 떨리는 범죄를 저지르고도 그는 저세상에 가는 날까지 남조선 인민들에게 사죄를 표명하지 않았다”며 “인두겁을 쓴 살인마, 독재광, 철면피한”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저승에 가서도 ‘흡수통일’이 되는 그날을 보겠다는 넉두리(넋두리)이다. 얼마나 동족대결에 미친 반통일분자인가”고 거듭 비난했다. .

전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 반공주의를 내세웠다. 이는 미소 신냉전이라는 국제정세와 맞아떨어지며 친미주의로 발전했으며 아프리카, 동유럽 등 지역에서 북한과의 외교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이같은 반공주의는 국내 정치에서는 민주주의 세력을 간첩, 반공분자로 취급하는 등 악용되기도 했고, 전두환 정권의 친미주의가 오히려 국내 정서상 반미주의를 낳기도 했다.

특히 전 전 대통령은 2017년 출간한 회고록에 “김일성 왕조가 무너지고 조국이 통일되는 감격을 맞이하는 일. 그날이 가까이 왔음을 느낀다”며 “그 전에 내 생이 끝난다면, 북녘땅이 보이는 전방의 어느 고지에 백골로라도 남아 있으면서 기어이 통일의 그날을 맞고 싶다”고 쓴 바 있다.

이에 통일신보는 “역도가 전방 고지에 백골로 남아 ‘흡수통일’의 그날을 보겠다고 줴쳤지만 그런 개꿈은 백년이 가도, 천년이 가도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전 전 대통령의 장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내란죄 등으로 실형을 선고받은 전 전 대통령은 국립묘지에는 안장할 수 없다. 전 전 대통령의 유언인 북녘땅이 내려다보이는 전방고지는 정부의 허가가 필요하다. 유해는 연희동 자택으로 옮겨져 장지가 정해질 때까지 임시로 안치될 예정이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by LiveRe

많이 본 뉴스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