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경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0일 “전날 부동산 대책 중 내용은 조정대상지역의 담보대출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10%포인트 강화, 서울 전지역 전매 제한, 조합원이 분양 주택수 최대 2채로 축소, 청약조정지역 40개로 확대 등”이라며 “대체로 11·3대책 연장선이었고 새로운 점은 금융규제 환원과 잔금대출의 DTI 신설, 조합원 분양 주택수 규제”라고 분석했다.
부동산 시장 양극화에 초점을 둔 이번 대책의 규제 범위는 협소했으며 내년 지방선거 부담과 고용 등을 고려해 앞으로도 획일적 규제의 가능성은 낮다는 판단이다.
지난달 15일 서울시가 발표한 ‘서울 생활권 계획안’은 서울 내 낙후된 동남권을 개량하는 것이다. 도시재생뉴딜, 교통망 확충, 공공주택 공급증대 등으로 건설 투자는 확장 기조를 이어가겠지만 가격(P)보다 물량(Q) 중심 성장이 예상돼 건설사의 변별력은 약해질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친환경 에너지 정책으로 에너지 절감건자재 섹터 성장은 구조적일 것”이라며 “새 정부 정책 방향에 부합하는 관련주는 LG하우시스, KCC, 한일시멘트”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