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가 1일 발간한 보고서(언택트(Untact) 시대와 디지털 헬스케어)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정부가 전화를 이용한 진료상담과 처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며 원격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으며, 2020년 5월 경기연구원에서 실시한 언택트 서비스 관련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 비대면 의료 서비스가 언택트 서비스 중 중점 육성이 필요한 분야 1위(24.7%)로 꼽혔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단순 전화, 화상 통화 등을 넘어 챗봇, 웨어러블 기기, AI 스피커 등 다양한 채널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빠르게 발전하는 IT 기술로 인해 향후에는 환자의 실시간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맥박 등의 의료 정보를 활용해 한층 더 발전된 분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비대면 의료 시장은 이미 2000년대 초부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하 급격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스테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전 세계 비대면 의료 시장은 2015년 이후 연평균 14.7%로 성장해 2021년 412억 달러(한화 45조 8,144억 원)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다.
선진국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도 비대면 진료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데, 인도네시아는 개발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 비대면 진료를 통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여 의료 편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산업 육성을 도모하기 위한 정부의 효율적인 촉진정책이 필요한데, 무엇보다 시장 안정 전까지는 정부의 R&D, 진료 인프라 구축 단계 등에서의 적극적인 금융지원, 의료수가 관련 적절한 가이드라인 제시 등 다양한 촉진제도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연결성을 기반으로 한 생태계 혁신도 실현되어야 하며 수집된 의료 정보들이 한 곳에 머물지 않고 여러 산업 참여자들에게 순환되어 파격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박경수 삼정KPMG 헬스케어 산업 리더(상무)는 “국내에서 비대면 진료가 효과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예약시스템, 전자의무기록(EMR)과의 연동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며, 의료 빅데이터 구축 및 원내·외 데이터 공유를 통해 비대면 의료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박 상무는 “비대면 의료 서비스의 해외 진출 시에는 해당 국가의 법과 규제에 대한 대응, 현지 고객군 및 유통 채널 확보 등의 측면에서 단독 진출보다 현지 기업과의 JV(조인트벤처), 파트너십 등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