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날 조 의원은 “우리 당이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데 상당한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분은 가급적 당내 선거에 나서지 말라”며 “‘무능과 위선 그리고 오만과 독선의 태도’에 대해 상당한 책임이 있는 분이 아무런 고백과 반성 없이 출마해 당선되었을 경우 국민들께서는 우리 당이 정말 바뀌고 있다고 인정을 해주실지 두렵다”고 공개 비판했다. 조 의원은 전당대회와 원내대표 선거에 나설 준비를 하고 있는 강성 친문 의원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3주간의 짧은 비대위에 대해선 “오히려 비대위가 당 지도부의 리더십을 약하게 만든 부작용이 있었다”며 “이번에 비대위가 3주 동안 꾸려진 것은 차기 지도부를 신속하게 선출하기 위한 역할”이라고 밝혔다.
최 수석대변인은 “일주일 동안 도종환 의원이 비대위원장을 하고 (2주 동안은) 새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는다”며 “3주간의 짧은 기간이지만 그러나 반성과 혁신을 위한 골든 타임에 맞는 비대위이기 때문에 얼마나 반성을 해야되는지, 또 어떻게 혁신해야 되는지를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친문 3선 의원인 도종환 비대위원장을 선임한 이유에 대해선 “장관을 역임해 정부의 상황에 대해서도 잘 알 있어 당정 간에 가교 역할을 할 것”이라며 “뿐 만아니고 당내에서도 후배 의원과 중진 의원 사이에서 실망이 커서 비대위가 소통의 적임자라고 하는 공감대가 있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