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조선(042660) 경영권을 팔기보다는 일단 공적자금 조기 회수를 위해 금융위원회가 가진 대우조선 지분을 시간외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대우조선의 1대주주인 산업은행 보유분과 묶어 통째 매각하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고 있어 새로운 주인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지난 7일 대우조선 주식 매각주관사 선정공고를 내고 오는 24일까지 접수를 마감하기로 했다. 내달 매각 주관사를 정하고 지분 매각을 위한 적절한 시기와 조건을 연내 결정할 방침이다. 예정대로 준비작업이 끝나면 연말이나 내년 초 인수합병(M&A) 시장에 대우조선을 본격적으로 내놓을 전망이다.
금융위는 지난 2월 부실채권정리기금 운용 기한이 만료되면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로부터 대우조선해양 지분 19.1% 중 17.15%를 넘겨받았다. 현재 대우조선 최대주주는 31.3%의 지분을 보유한 산업은행으로 금융위가 자체 보유지분만 팔면 경영권이 바뀌지는 않는다.
정부가 경기 불황에도 정권초기부터 대우조선 재매각을 밀어붙이는 것은 우리금융과 마찬가지로 공적자금을 최대한 빨리 회수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길게는 10년 이상 끌어온 매각 작업을 초기에 진행하지 않으면 추진동력이 떨어져 매각이 또 좌초할 수 있다. 이와 함게 새 정부가 선정한 140개 국정과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재정확보라는 명분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직 경기 반등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데다 주식시장과 인수·합병(M&A) 시장 모두 침체의 늪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매각작업이 순조롭지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조선업계에서는 작년 성동조선에 이어 올해 STX(011810)조선 등 구조조정 대상이 늘어나고 있는데 대우조선마저 매물로 나오면 제값을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 관련기사 ◀
☞ 대우조선·남부발전, 부유식 화력 발전소 사업 MOU
☞ 대우조선해양 등 14개기업, 마곡산단 입주 앞둬
☞ 대우조선, 8억달러 UAE 우전개발 프로젝트 수주
☞ 대우조선, 중동서 8968억 인공섬 설비 공사 수주
☞ 대우조선해양, 3782억 규모 컨테이너선 4척 수주
☞ 대우조선해양 "태국 군함,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