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일반적으로 살인 현장에 다시 간다는 건 두렵고 무서워 주저하게 된다”며 “그러한 주저함이 없는 모습은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더욱 섬뜩한 건 캐리어를 집에서 가지고 왔다는 사실”이라며 “저 캐리어는 피해자의 신체 일부만 담을 수 있는 크기라는 점에서 소름이 끼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승 위원은 “진정한 반성은 말과 행동이 일치한다”며 “(정씨가) 신상 보호를 위해 마스크와 모자를 쓰고 나온 행동과 ‘피해자 유족에게 죄송하다’는 말은 언행이 전혀 일치하지 않는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씨의 긴급체포 직후 발언과 자신은 범인이 아니라는 거짓 주장 등을 미루어 볼 때 “심신미약을 주장해 형량을 줄여보겠다는 ‘꼼수’일 수 있다”고 했다.
다만 “범행 준비, 살인 후 캐리어를 가지고 오는 행동 등을 고려하면 심신미약을 인정할 여지는 없어 보인다”며 “형법은 과거와 달리 심신미약이 인정되더라도 ‘감경할 수 있다’고 개정돼 반드시 감경할 필요는 없다”고 전했다.
아울러 승 위원은 정씨와 유사한 범행 등을 막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지금까지의 많은 비정상적 범죄 원인과 세상 문을 연 열쇠를 찾으면 비정상적인 살인을 막을 수 있다”며 “범죄자들에 대한 생애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당장 정유정의 가정환경, 고등학교 학창 생활, 졸업 후 5년 동안의 은둔 생활 전반을 역추적해 정유정을 저렇게 만든 이유를 찾아야 한다”며 “자신만의 성(城)에서 살다 세상 문을 연 열쇠 역시 반드시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씨는 지난달 26일 오후 5시 40분께 부산 금정구에 있는 피해자 집에서 흉기로 그를 살해한 뒤 시신을 유기한 혐의로 구속 송치됐다. 그는 과외 아르바이트 앱을 통해 학부모인 척 피해자에게 과외를 요청했고 교복을 입은 채 피해자 집에 찾아가 범행을 저질렀다.
정씨는 첫 경찰 조사에서 자신이 범행하지 않았다고 한 뒤 우발적 범행이라고 주장했으나 최근 “살인해보고 싶어서 그랬다”고 자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