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확진자에 대한 7일 격리 의무를 다시 4주 연장하기로 했다. 격리 완화 시 재확산 우려 때문이다. 정부는 4주 이전 에도 방역지표 호전 시 격리 해제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함께 예방접종 완료자에 한해 요양병원·시설 등에서 가능하던 대면면회를 접종여부와 무관하게 허용한다.
|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7198명으로 집계됐다. 국내 발생 확진자는 7130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68명이며 누적 확진자는 1826만 3643명이다. 지난 11일부터 1주일 신규 확진자는 8441명→7378명→3826명→9778명→9435명→7994명→7198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기준 서울은 1277명, 경기 1716명, 인천 265명, 부산 475명 등이 코로나19에 감염됐다.
이날 선별진료소(통합) 유전자 증폭(PCR) 검사 건수는 11만 3562건을 나타냈다. 전날(16일)은 3만 8643건이었다.
의료기관, 검사전문기관(수탁), 보건환경연구원 등으로부터 보고된 건수까지 포함한 정확한 총 검사 건수는 집계 중이다. 이를 포함한 전날 발표치는 7만 3925건이었다. 해당 숫자는 병·의원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수는 제외된 수치다.
전국의 중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은 7.5%(116개 사용 중)를 기록했다. 수도권 중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은 6.6%(77개 사용 중)로 집계됐다. 재택치료자는 4만 4465명, 이중 집중관리군은 2446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신규 1차 백신 접종자는 335명으로 누적 4506만 2531명, 누적 접종률은 87.8%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새롭게 2차 접종을 완료한 사람은 875명으로 누적 4461만 3835명, 86.9%다. 신규 3차 접종자는 2177명으로 누적 3334만 5641명, 65.0%다. 4차 접종자는 1만 64명으로 누적 430만 4478명, 8.4%다.
|
한덕수 국무총리는 “정부는 현재의 7일 격리의무를 유지하고자 한다”며 “앞으로 전문가들과 함께 4주 단위로 상황을 재평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해 “지난 5월 20일 중대본에서는 4주간의 방역상황을 평가해 확진자 격리의무를 조정하기로 한 바 있다”며 “그동안 정부는 전문가 TF와 감염병 위기관리 전문위원회 등을 통해 격리의무 해제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이어 “전문가들은 ‘의료대응여력 등 일부 지표는 달성된 것으로 평가되지만, 사망자수 등이 아직 충분히 감소하지 않았으며, 격리의무를 완화할 경우 재확산의 시기를 앞당기고 피해 규모를 확대할 수 있다’고 상황을 평가했다”고 전했다.
한 총리는 “이에 따라 정부는 현재의 7일 격리의무를 유지하고자 한다”며 “앞으로 전문가들과 함께 4주 단위로 상황을 재평가할 예정이며, 그 이전이라도 방역지표가 기준을 충족하면 확진자 격리의무 조정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또 “요양병원과 시설에서의 일상회복의 폭은 넓히겠다”며 “최근 요양병원과 시설 입소자의 4차 접종률이 80%를 넘어섰고, 가족을 자주 만날 수 없는 안타까운 마음을 고려해서 지난 4월 30일 이후 예방접종 완료자, 확진이력자를 포함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예방접종 완료자에 한해서 가능하던 대면면회를 접종여부와 무관하게 허용하겠다”고 덧붙였다.
한 총리는 이어 “또한 4차접종을 완료한 어르신들에 대해서는 현재 금지되어 있는 입소자의 외출과 외박도 가능하도록 하겠다”며 “다만, 함께 모여 생활하시는 어르신들의 안전을 고려하여 면회 전 사전예약과 면회객의 PCR 또는 신속항원검사는 유지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