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윤 리치고 팀장은 16일 이데일리 유튜브 채널 ‘복덕방기자들’에 출연해 최근 주택 시장 상황을 이렇게 진단했다. 그는 “패닉셀(공포에 의한 매도)이 적어도 내년~내후년 사이에는 나타나리라 판단한다”고 말했다.
정 팀장은 “서울 부동산 시장 조정세가 4분기부터 시작될 것 같다고 말했는데 생각보다도 빠르게 시장이 얼어붙는 것을 볼 수가 있다”고 말했다. 정 팀장은 5월 복덕방기자들에 출연해 “4분기부터는 조정장이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지난 8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5054건으로 지난해보다 80% 넘게 줄었다. 가격도 8월 기준 0.29% 하락해 글로벌 금융위기 중이던 2009년 1월(-0.55%)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그렇다면 반등 시점은 언제일까. 정 팀장은 “가격이 어느 정도 하락해 시장이 보합세에 접어드는 시점과 실수요자에 대한 대출 규제 완화가 맞물리게 될 때 이때부터 부동산 시장의 흐름이 다시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가격 하락세가 한동안 지속해야 정부가 대출 규제 완화를 검토할 것이란 관점에서다. 그는 등록 말소된 임대사업자 매물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풀리는 2024년 이후를 시장 전환점으로 짚었다.
이런 상황에서 내 집 마련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정 팀장은 ‘타이밍’을 강조했다. 그는 “(가격이 조정받는 상황에선) 입지가 좋은 지역과 아파트 이런 곳도 미계약분이나 미분양이 조금씩 발생하기 시작한다”며 “언젠간 매수할 기회가 오기 때문에 투자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자신의 자산을 잘 지키고 불려서 본인이 원하는 지역 내 아파트를 매수할 준비를 잘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주택 구매를 서두르기보다는 시장 상황을 관망하는 게 낫다는 뜻이다. 갈아타기를 노리는 1주택자에도 “언제든 기회가 분명히 오기 때문에 지금 거주 만족도보다는 투자 가치가 우선시한다면 우선 매도 비중을 늘리는 건 어떨까 말하고 싶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