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18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56포인트 0.13% 하락한 1981.87에 거래 중이다.
지난 주말 뉴욕 증시는 트럼프의 정책 기대감에 따른 금융주 상승이 지수를 끌어 올리며 사상 최고치를 또 갈아치웠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전날보다 39.78포인트(0.21%) 상승한 1만8847.66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우지수는 지난 주에만 5.4% 급등했다. 지난 2011년 12월 이후 5년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나스닥 지수도 28.31포인트(0.54%) 오른 5237.11로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3.03포인트(0.14%) 하락한 2164.45를 기록했으나 주간 기준으로는 3.8% 올랐다. 지수 랠리를 이끌고 있는 금융주가 이날도 0.39% 올랐다. 트럼프 정부가 금융회사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것이란 기대에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더해졌다.
국제유가는 하락했다. 11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 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1.25달러(2.8%) 하락한 43.41달러를 기록했다. WTI는 이번 한주 동안 1.5% 떨어지며 3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지난 10월 산유량이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는 소식이 국제유가를 떨어뜨렸다. OPEC 회원국들은 지난 9월 알제리 비공식 회담에서 감산에 구두로 합의했으나 입으로만 감산을 외쳤을 뿐 전혀 생산량을 줄이지 않은 셈이다.
트럼프 정책 수혜주로 떠오른 의약품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진다. 지난 10일 상장한 삼성바이어로직스가 7% 이상 급등하며 의약품업종이 2.07% 올라 최대 상승업종에 이름을 올렸다. 이밖에 기계와 증권, 운수창고, 비금속광물, 종이목재, 의료정밀, 서비스업 등이 오름세다. 반면 전기전자업종이 0.72% 하락해 최대 낙폭을 기록 중이고 전 거래일 상승세가 강했던 은행업종이 0.69% 하락하며 하락률 2위를 기록하고 있다. 건설업과 섬유의복, 음식료품, 전기가스업, 금융업 등도 내림세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은 엇갈린 모습이다. 대장주 삼성전자(005930)는 외국이 매도세가 이어지며 전 거래일 대비 1.44% 하락한 157만5000원에 거래 중이며 삼성전자우(005935)선주도 1.2% 내림세다.
차익실현세가 강한 은행주와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한 정유화학주의 내림세가 뚜렷하다. 우리은행(000030)과 기업은행(024110), 신한지주(055550)가 일제히 1% 내외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S-OIL(010950)과 SK이노베이션(096770)도 내림세다. 반면 네이버(035420)와 KT&G(033780), LG디스플레이(034220), LG전자(066570), 한온시스템(018880) 등이 1% 이상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이밖에 SK하이닉스(000660), 현대차(005380), 현대모비스(012330), SK텔레콤(017670) 등이 상승 중인 반면 한국전력(015760), 포스코(005490), LG화학(051910), 삼성화재(000810) 등은 내림세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0.07% 하락한 621.47에 거래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