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간부 모바일 상황실’은 실무진의 정보공유를 위한 ‘모바일 상황실’과는 별도로 주요 국·과장이 참여해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무진 모바일 상황실’은 300여명이 참여하고 있어, 상황정보를 놓치거나 의사결정을 위한 소통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서울시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사고 발생 직후 가동했다’로 보도자료를 수정해 책임을 회피하려 했다는 주장과 관련, 김의승 행정1부시장이 최초 사고 인지 후 지난 10월 30일 오전 0시 30분까지 재난과 관련해 시장·간부들과 10여 차례 통화해 상황을 파악하고 대책을 지시하는 등 실질적으로 대응을 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는 사실상 재대본이 가동된 것이며 보도자료에 사고 직후 재대본을 운영한 것으로 수정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측은 “위 공문들은 핼러윈을 계기로 코로나가 재유행하는 것을 예방하라는 ‘방역 수칙 재강조’ 와 ‘화재 예방 등 소방 활동 강화’ 내용”이라며 “이를 두고 은폐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강조했다. 또 “피해자라는 용어를 쓰지 않도록 해달라”는 행정1부시장의 발언 관련해선, 피해자라는 명칭이 해석상 혼선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부상자와 사망자만 포함하는 ‘사상자’로 표기하도록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