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금융당국이 가계 빚 급증세의 주범으로 꼽은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가장 많이 취급한 곳은 NH농협은행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금융감독원이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말 기준 50년 만기 주담대 신규 취급액은 총 8조3000억원이었다. 농협은행이 2조8000억원으로 가장 비중(33.7%)이 컸다.
두 번째는 1조7000억원(20.5%)을 취급한 하나은행이었고, 다음은 수협(1조2000억원·14.5%), KB국민은행(1조원·12%), IBK기업은행(9000억원·10.8%) 순이었다. 농협은행과 하나은행 2곳에서 취급한 50년 만기 주담대가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연령별로 보면 40~50대 비중이 57.1%(4조7000억원)로 압도적으로 컸다. 30대 이하는 29.9%(2조5000억원)이었다. 60대 이상에서 판매된 비중도 12.9%(1조1000억원)나 됐다.
50년 만기 주담대는 지난해 10월 SC제일은행이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올해 상반기 수협(1월), 전북은행(5월), 대구은행(6월)이 취급하기 시작했다. 그러다 7월엔 농협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하나은행이 뛰어들었고, 지난달 들어선 기업은행, 부산은행, 카카오뱅크, 경남은행, 우리은행까지 가세했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원회는 지난 13일 50년 만기 주담대 대출 한도를 줄이는 규제를 발표했다. 50년 만기 주담대를 취급할 때 실제론 50년간 돈을 갚지만 대출 만기는 40년으로 계산하도록 하는 대출 한도를 줄였다. 금융위는 50년 만기 대출이 만기가 늘어나는 만큼 더 많은 돈을 빌릴 수 있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우회 수단으로 작용한다고 봤다. DSR은 연 소득에서 대출금의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로 현재 40%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