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대선 기간 동안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퇴근 후 소셜미디어나 문자 등으로 업무 지시를 못하도록 하고, 주말과 공휴일이 겹칠 경우 대체 휴일을 지정하는 등 연간 노동시간을 15% 줄여 국민들에게 충분한 휴식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당시 “노동시간 단축은 일하는 사람에게는 저녁과 휴일, 그리고 휴가를 보장하고 일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일자리를 만들어주는 정책”이라며 “주 68시간 행정해석을 폐기하고 주 52시간 법정노동시간을 철저히 지키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과도한 근로시간은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로 이어졌다. 한국의 출산율은 1.25명으로 OECD 회원국들 중 가장 낮았다. 전문가들은 일과 삶이 균형을 이뤄야 낮은 출산율, 내수부진, 여성의 노동 참여율을 개선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하지만 한국 국민들은 문 대통령의 공약에 회의적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올해 초에도 주당 노동시간을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이는 노동법 개정이 시도됐으나, 국회의원들이 주말 업무 처리 시간을 두고 이견을 보이면서 법안 개정이 좌초됐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또 문 대통령이 정책 추진을 서두르면 오히려 고용주들의 반발을 살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호균 경영자총협회 홍보부장은 “노동시간 단축을 추구해야 한다는 데에는 동의하지만 급격한 변화는 기업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기업은 여유가 필요하다. 근로시간이 줄어든다고 해서 더 많은 인력을 고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며 충분한 일을 하지 못하면 회사를 떠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