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따라 부정적 소득충격이 발생할 경우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가계대출 부실화 위험이 높아지고, 소비 여력이 크게 위축될 수 있단 지적이다.
한은은 단기적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연초부터 이어진 주택 매매거래 확대, 하반기 아파트 입주·분양 예정 물량 증가, 임대인의 보증금 반환 대출 수요 등이 가계대출의 증가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판단이다.
국토교통부, 부동산114 등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3월 3만5000호 △4월 3만4000호 △5월 3만7000호 △6월 3만6000호 △7월 3만4000호로 집계됐다. 전국 아파트 입주·분양물량은 각각 △3월 2만2000호·1만000호 △4월 2만4000호·1만2000호 △5월 2만8000호·1만4000호 △6월 4만2000호·1만3000호 △7월 3만호·1만8000호 △8월 2만7000호·2만2000호로 조사됐다.
한은은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해 정책 당국 사이 일관된 공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은 통화정책국은 “과도한 수준의 가계부채는 장기성장세를 저해하고 자산불평등을 확대하는 등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중장기적 시계에서 디레버리징을 지속하기 위한 정책 당국 간 일관성 있는 공조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