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에너지 총사용량은 신축에 따른 연면적(3.1%) 증가와 기후변화에 따른 냉난방도일(5.4%)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201만8000TOE 증가(5.9%)한 3636만2000TOE로 집계됐다. 냉난방도일이란 일평균기온과 기준온도(난방18℃, 냉방24℃)의 차이를 월별로 합산한 값이다. TOE는 석유환산t으로 석유 1t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으로 표준 에너지단위다.
한편 기준연도인 2018년과 비교한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냉난방도일 감소(-8.0%) 및 연면적의 증가(10.9%) 대비 에너지 총사용량의 증가(5.6%)분이 상대적으로 낮아 최종적으로 4.8%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토교통부 이정희 건축정책관은 “매년 발표되는 국가 건물에너지 사용량 추이 및 지역별·용도별 사용경향 분석 등은 건물부문 탄소중립 달성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통계자료로써, 건물에너지 정책수립 방향의 근간이 된다”라며 “향후에도 유의미한 통계지표를 적극 발굴하여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