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행사에는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를 주요 발제자로 김형환 SK하이닉스 부사장, 김지훈 이화여대 교수, 한동석 경북대 교수, 서울대 박솔아 대학원생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전체적인 행사 주관을 했다.
|
황 교수는 “수준별 인재 맞춤형으로 양성하기 위해 산학연 협력이 필요하며 석박사와 관련학자 전공자, 비전공자 등을 맞춤형으로 키워야 한다”면서 “특히 반도체를 연구하는 교수가 충분한 연구활동을 할 수 있게 지원해 석·박사급 고급 인력을 키워내는 게 반도체 인력 양성에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대안으로 김 부사장은 반도체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 정원 확대, 계약학과 운영 관련 비용 세제 혜택, 관련 교수에 대한 지원 시 정부의 매칭 등을 제시했다.
김지훈 이화여대 교수는 “반도체 관련 대학 정책을 수립할 때 반도체 설계와 공정, 소부장(소재·부품·장비)를 나눠 정책추진을 해야한다”면서 “특히 학교별 수준 및 선호를 현실적으로 고려해 정원 확대 등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동석 경북대 교수도 수준별 반도체 인력 양성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실제 반도체 관련 분야를 전공 중인 박솔아 서울대 대학원생은 “장비나 서버, 질 높은 교수 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고 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때부터 반도체 산업 지원을 주요 공약으로 강조해왔다. 지난 7일 국무회의에서는 교육부 등 관련 부처에 반도체 산업 인력 양성에 대한 노력을 당부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