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대학 등록금이 올해로 15년째 이어진 동결정책으로 약 20%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반영하면 2011년 대비 국립대는 20.8%, 사립대는 19.8%가 인하된 것이다.
4년제 대학 협의체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은 이러한 내용의 ‘대학 등록금 및 사립대 운영손익 현황 분석’ 자료를 7일 발표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사립대 등록금은 756만9000원, 국공립대는 420만3000원이다. 하지만 정부의 등록금 동결정책이 본격화된 2011년과 비교하면 사립대 등록금(685만9000원)은 19.8%가, 국공립대 등록금(380만8000원)은 20.8%가 인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교협 관계자는 “지역별 사립대 운영수지에 따른 1개교 평균 운영 손익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대학은 2017년과 2021년 운영수지 적자를 보였으며 비수도권 대학은 2014년부터 적자 규모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어 “수도권 대학 중 적자 대학 비중은 2011년 대비 47.7%포인트가, 비수도권 대학은 같은 기간 48%포인트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수도권 대학 중 적자가 발생한 대학은 2011년 15곳에서 2021년 46곳으로 늘었다. 비수도권 대학은 같은 기간 31곳에서 74곳으로 증가했다.
대교협 관계자는 “장기간의 대학 등록금 동결에 따른 사립대의 열악한 재정여건 개선을 위한 대학 수익 다각화 정부차원의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 우리나라의 고등교육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대학 재정 확충뿐만 아니라 대학 재정자립도 향상을 위한 자율성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