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를 총괄하는 곳은 국방부 정책실이다. 보고라인은 대량살상무기(WMD)대응과장 → 정책기획관(국장) → 국방정책실장이다. 문제는 정책기획관이 박근혜정권에서 문제가 된 ‘알자회’ 출신 인사들이 가는 자리로 인식됐다는 점이다. 이번 보고누락 사태가 ‘적폐’로 지목된 알자회 척결에 맞춰져 있다는 얘기가 나도는 배경이다. 알자회는 1976년 육군사관학교 34기 10여명이 모임을 만들어 43기까지 10개 기수 총 120여명이 활동했다. 1992년 해체된 것으로 전해졌으며, 당시 알자회 가담 인물들은 모두 1차 진급에서 떨어지고 보직조정이 이뤄졌다.
김관진(육사 28기)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독일 육사 유학파 인맥, 이른바 ‘독사파’(獨士派) 출신들도 주목받는다. 이와 관련,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지금 문제가 되는 것은 김 전 실장을 비롯한 ‘김관진 인맥’과, ‘알자회’를 중심으로 한 몇몇 사조직이 결탁돼 군 내 여러 사안들을 좌지우지된 것”이라며 “특히 김 전 실장은 독일 육군사관학교 유학을 갔다 왔는데, 군 내에서 독일 육사 연수나 유학을 갔다 온 사람들이 다 중용됐다. 그래서 ‘독사파’라는 말이 나왔다”고 주장했다.
청와대의 진상조사가 마무리되면 군내 파벌을 형성하고 있는 ‘알자회 출신 라인’, ‘김관진 라인’ ‘한민구 라인’ 등에 대한 대대적인 인사태풍이 몰아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배경이다. 이와 관련, 홍 의원은 “단순한 친목모임이라면 단순징계·해체권고 정도로 끝날 수 있지만, 이 사람들이 사조직을 통해 인사 개입을 모의·개입했거나 특정한 군 사업들을 하는 데 있어 인맥을 활용했다면 군형법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며 “감찰을 통해 드러난다면 그 이후 법적 절차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