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이스라엘 방위군은 지난달 중순께 가자시티 알샤티 난민캠프에서 북쪽으로 약 1마일(약 1.6㎞) 떨어진 곳에서 최소 5개의 대형 해수 펌프 조립을 완료했다. 가자지구 지하터널에 바닷물을 주입해 하마스 대원들을 지상으로 끌어내겠다는 게 이스라엘군의 복안이다. 이스라엘군은 현재까지 약 800개의 지하터널을 확인했다. 실제로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스라엘은 지난달 초 미국 측에 관련 계획을 통보했다.
이후 미국 정부 내부에선 군사적 가치, 실현 가능성, 환경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한 검토가 이뤄졌다. 하지만 이스라엘의 작전을 찬성하는 지지 의견과 인도주의적 위기를 악화할 수 있다는 반대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지지론자들은 터널을 물로 채우면 하마스 대원들이 인질들과 함께 지상으로 나올 수밖에 없고, 지하터널도 완전하게 파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미국 정부 관계자는 “펌프를 통해 지중해에서 바닷물을 끌어와 터널에 시간당 수천㎥의 물을 채울 수 있고, 물이 터널로 흘러들어 가면 몇 주 안에 터널을 완전히 잠기게 만들 수 있다”면서도 “동시에 가자지구 내 식수 공급을 위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 싱크탱크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의 존 알터만은 “터널의 투과성이 어떻게 되는지, 바닷물이 토양에 스며들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기존 상하수 인프라와 지하수 저장고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말하기 어렵다. 바닷물이 건물의 안정성에 미치게 될 영향을 말하기도 어렵다”고 짚었다. 채워진 바닷물을 어떻게 배수할 것인지, 작전이 실제로 효과가 있을지 불명확하다는 얘기다.
전직 미 국방부 차관이자 중앙정보국(CIA) 출신인 믹 멀로이는 이번 작전에 대해 “하마스 대원들을 지하 터널 밖으로 나오게 할 수 있겠지만 식수에 염분이 스며들면 인도주의적 위기가 악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