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면 자동차보험에 대해서는 업권 간 이견이 여전한 상태다. 이에 금융위원회는 보험상품 비교추천서비스 관련한 업계의 의견을 돌아가며 청취하고 있다. 이날 오후 진행된 금융위와 손해보험업계 간 간담회에서도 자동차보험을 비롯한 허용 범위와 수수료 등 다양한 의제가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업계의 기존 전망과는 다소 다른 전개다. 지난 8월 금융위가 금융규제 샌드박스의 혁신금융서비스를 적용해 보험 비교·추천서비스를 허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힐 때만 하더라도, 자동차보험이 해당 서비스에 우선 편입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보험 구조가 복잡하지 않은 데다 표준화가 상당히 이뤄진 상품이라 비교·추천서비스에 적합하다는 이유에서다.
자동차보험은 이미 손해보험사 사이버마케팅(CM) 채널을 통한 가입이 쉬운 상품인데, 빅테크 플랫폼이 중간에 끼게 되면 수수료 비용이 상품 사업비에 추가되고 결국 보험소비자들의 보험료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보험대리점업계 역시 고객과의 접점을 형성하는 자동차보험은 생존권과 연결된다며 비교·추천서비스 허용을 반대하고 있다.
반면 플랫폼 업체들은 비교·추천서비스에 자동차보험이 꼭 들어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민 대다수가 가입한 상품인 만큼 소비자 편의성 등을 고려한 상품 허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금융위 관계자는 “자동차보험의 보험상품 비교·추천서비스 포함 여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며 “다음주 관련 세부 사항이나 새로운 결정이 날 것이라는 예상도 잘 못 알려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카카오 먹통 사태’가 상품 허용 범위의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는 의견도 관측된다. 지난 15일부터 서비스 장애가 이어지면서 카카오가 데이터 관리에 허점을 드러낸 만큼, 금융당국도 신중 모드로 들어갔다는 분석이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결국 자동차보험이 서비스에 포함될 지 여부는 금융당국의 판단인데, 이번 카카오 사태로 금융당국의 스탠스가 ‘서둘지 않겠다’는 입장으로 선회한 것 같다”며 “온라인 플랫폼 독과점 문제와 규제 필요성이 다시 언급되는 만큼, 당국 입장에서도 바로 결정을 내리기엔 부담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