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참사 당일) 오후 10시 15분에 참사가 발생했는데, 대통령은 (참사 후) 48분, 행안부 장관은 65분, 국무총리는 87분 만에 보고를 받는다”며 “참사 당시 컨트롤 타워의 대응은 총체적인 실패”라고 역설했다. 야당 간사인 김교흥 의원도 “재난 시스템에 있어서 책임자들이 중심에 서지 않아 ‘골든타임’을 놓친 것”이라며 “대책을 내놓을 사람들이 아닌,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할 사람”이라고 질타했다.
오후 질의에선 참사 당일 신현영 민주당 의원이 DMAT(재난의료지원팀) 차량 탑승으로 논란을 빚은 사안을 두고 여당의 공세가 이어졌다. 여당 간사인 이만희 국민의힘 의원은 신 의원의 행적을 시간대별로 조목조목 살피며 이 사안을 ‘참담한 갑질’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신속하게 현장 가야 할 응급차량을 자신의, 자신의 배우자를 태운 콜택시로 전락시켰다”고 질책했다. 윤 대통령의 신속한 신원확인 지시를 두고도 여야는 엇갈린 해석에 장내에선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이날 설전 속 여야 간 청문회 증인채택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결국 내년 1월 2일 청문회는 열리지 않게 됐다. 민주당은 국조특위 합의 당시 증인에서 제외됐던 한덕수 국무총리 소환을 요구했고 국민의힘에선 신 의원을 증인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다.
아울러 내달 7일로 예정된 국조특위 활동 기한을 두고도 여야는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민주당은 특위 활동이 예산안 처리와 일련의 국민의힘 ‘보이콧’ 검토 등을 이유로 연장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국민의힘은 기한 연장은 검토할 이유가 없다며 ‘연장 반대’를 고수하고 있다. 국조특위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이미 첫 번째 청문회가 물 건너간 상황에서 마지막 날까지 보고서 채택은 불가능하다”며 연장 필요성을 말했다. 이어 “국민의힘 입장에선 기간 연장을 막기 위해 당초 3회인 청문회 횟수를 2회로 줄이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