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사를 빠져나온 송 전 대표는 포토라인에서 준비한 입장문을 꺼내 검찰 수사의 부당성을 피력했다. 송 전 대표는 “귀국한 지 벌써 일주일이 지났지만 검찰은 저를 소환하지 않고 주변 사람들을 괴롭히고 있다”며 “비서들을 압수수색·임의동행이란 명분으로 데려가 협박하고 윽박지르는 무도한 행위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2년 전 일을 소환해 중앙지검 부패수사2부 7명 모든 검사가 총동원돼 정치적 기획수사를 하는 것은 해도 너무한 일이 아닌가”라고 반문하며 “윤석열 정권하의 대한민국이 음울한 검찰공화국으로 변했다”고 말했다.
이날 송 전 대표 출석 현장에는 지지자와 반대자 100여 명이 뒤엉켜 극심한 혼잡을 빚었다. 이들은 각각 “송영길 힘내라” “고개 숙여 사죄하라”고 외쳤고 이 과정에서 가벼운 몸싸움과 말다툼이 벌어지기도 했다. 송 전 대표는 30분 만에 청사를 빠져나간 가운데, 지지자들은 청사 밖까지 송 전 대표를 쫓으며 응원 구호를 외쳤다.
검찰은 이정근 전 민주당 사무부총장 등 민주당 관계자들이 2021년 전당대회에서 송 전 대표를 당선시키기 위해 총 9400만원을 살포했으며, 송 전 대표도 이들 행위에 개입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법조계는 송 전 대표가 검찰 출석을 강행한 것은 향후 구속영장 청구에 대비한 ‘명분 쌓기’라고 보고 있다. 송 전 대표는 △‘금권선거’ 의혹의 중대성이 인정되는 점 △이정근 통화녹음 내용 등 혐의가 뚜렷한 점 △정치적 영향력을 이용해 증거인멸에 나설 위험 큰 점 등을 종합하면 구속영장이 청구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다.
검찰은 사건의 ‘자금 조달책’으로 지목된 강래구 씨에 대한 수사를 일단락 지은 뒤 송 전 대표 소환·구속 계획을 구체화할 전망이다. 앞서 수사팀은 지난달 29일 송 전 대표의 주거지와 그의 후원조직인 ‘평화와 먹고사는문제 연구소’를 압수수색하고, 지난 1일에는 송 전 대표 경선 캠프 관계자들에 대한 추가 압수수색을 실시했다.